땅집고땅집고

임대료 내렸다 더 올리면 '착한 임대인 감면' 못 받아

뉴스 한상혁 땅집고 기자
입력 2020.03.23 18:30 수정 2020.03.23 18:32

[땅집고] ‘착한 임대인 운동’에 동참해 소상공인에게 상가 임대료를 깎아준 임대인이 올해 안에 당초 체결했던 임대차계약보다 높게 임대료를 재 인상하면, 깎아준 임대료 50%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으로 조세특례제한법과 농어촌 특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23일 발표했다. 코로나 극복을 위한 조세특례제한법이 지난 17일 국회에서 의결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11일 오후 12시 무렵 서울 사당역 근처 식당가, 점심시간이지만 거리가 한산하다./조선DB
11일 오후 12시 무렵 서울 사당역 근처 식당가, 점심시간이지만 거리가 한산하다./조선DB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경영난을 겪는 임차인을 위해 상가 임대료를 인하해 준 임대사업자(이른바 ‘착한 임대인’)에게는 임대료 인하액의 절반을 세액 감면해주지만, 올해 안에 임대료를 이전보다 더 큰 폭으로 올리면 세액 감면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임대료를 인하해줬다가 추후 더 큰 폭으로 올려 편법으로 세금 감면 혜택을 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올해 안에 보증금·임대료를 기존 임대차계약에 정한 금액보다 올려받거나, 올해 안에 재계약을 맺으면서 기존 계약보다 5% 넘게 보증 금·임대료를 인상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와 함께 대구와 경북 일부 지역 등 감염병 특별재난지역 소재 중소기업 소득·법인세 30~60% 감면 적용 대상에서 부동산임대·공급업, 사행시설 관리·운영업, 전문직 서비스업 등은 빠진다. 또 소득·법인세 감면세액에 대해서는 농어촌특별세도 비과세하기로 했다.

임차인이 부동산업, 사행산업, 유흥업종 관련이어도 세액 감면을 받지 못한다.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소득세·법인세 확정신고 때 임대차 계약서와 약정서·변경계약서 등 임대료 인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등을 제출해야 한다.

기재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와 국무회의를 거쳐 4월 초 공포·시행할 예정이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 2020년 우리집재산세·종부세는 얼마? ‘땅집고 앱’에서 쉽게 계산해보세요. ☞클릭!!

화제의 뉴스

평택고덕 마지막 공공분양, 분상제·초품아는 좋은데|고덕 자연앤 하우스디
재건축 단지 대형평수가 인기인 이유? “면적 크면 분담금도 줄어든다”
부동산 전문가의 원픽 "6.27 대출규제 뚫는 방법은 분당이 최선"
"4일 만에 35억 폭락?"…대출 규제 직격탄 맞았다는 강남, 진실은?
마구 올린 가격에 결국 폭망한 골프장…손님 다 뺏기고 공매행까지

오늘의 땅집GO

"4일 만 35억 폭락?"…대출 규제 직격탄 맞았다는 강남, 진실은?
양재동 럭셔리 아파트도 절반값에 공매…부실PF 빠르게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