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서울 아파트값 12주 만에 상승폭 커져…"일시적인 듯"

뉴스 한상혁 땅집고 기자
입력 2020.03.12 16:57 수정 2020.03.12 17:39

[땅집고] 12·16대책과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영향에도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상승폭을 키웠다. 그러나 이번 주 들어 신종 코로나가 서울·수도권으로 확산함에 따라 상승세가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2%로 지난주(0.01%)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난해 12·16대책 발표 이후 12주 만에 처음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보다 더 크게 상승했다. 최근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급매물이 팔린 데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을 비롯한 강북지역의 9억원 이하의 일부 중저가 아파트들이 신고가에 팔린 것이 시세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감정원은 그러나 “금주 들어 코로나가 서울 등 수도권으로 확산하면서 매수세가 위축되고 있어 추세적 움직임보다는 통계상의 일시적 상승폭 확대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번주 주간 아파트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 ./ 한국감정원 제공
이번주 주간 아파트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 ./ 한국감정원 제공


서울 마포구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았던 공덕·도화동의 기존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지난주 0.04%에서 금주 0.06%로 상승폭이 커졌다. 서대문구도 지난주 0.02%에서 0.04%로 확대됐다. 대출이 가능한 15억원 이하 아파트를 중심으로 호가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양천구도 목동 신시가지 9단지의 정밀안전진단 조건부 통과 등의 재료로 지난주 보합에서 금주 0.02%로 상승 전환했다.

잠실 주공5단지, 대치 은마아파트 등 일부 단지의 매물이 팔린 이후 호가가 오르면서 강남권 아파트값의 낙폭은 다소 둔화했다.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지난주 -0.08%에서 금주 -0.06%로 하락폭이 줄었고 송파구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6% 하락했다.

경기도는 일부 저가 아파트의 매수세가 이어지며 지난주 0.39%에서 금주 0.41%로 상승폭이 커졌다. 광명시의 아파트값이 지난주 0.60%에서 0.67%로 오름폭이 커졌고, 남양주시도 지난주 0.18%에서 금주 0.24%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최근 집값 상승폭이 커지고 있는 구리시는 지난주 0.72%에서 금주 1.30%로 급등세다. 별내선 연장 등 교통 호재로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호가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13일부터 집중 단속에 들어가기로 한 인천시는 지난주 0.42%에서 금주 0.38%로 상승폭이 다소 둔화했다. 그러나 연수구(0.77%)와 서구(0.38%)는 광역급행철도(GTX) B노선 신설, 지하철 7호선 연장, 영종~청라 연륙교 사업 등 교통 호재로 강세가 지속하고 있다.

지난달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경기도 수원시(0.76%)는 외지 투자수요가 줄면서 지난주(0.78%)보다 오름폭이 소폭 둔화했으나 안양 만안구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39% 올랐고 의왕시는 0.49%로 지난주(0.47%)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조정대상지역 지정 이후 거래는 크게 감소했으나 호가 하락까지는 좀 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지방(0.05%)은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했던 대구가 0.04% 떨어지며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부산도 지난주 보합에서 금주 -0.02%로 하락 전환했고 광주광역시는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16주 간의 상승세를 멈추고 금주 보합을 기록했다.

전세 시장도 코로나 영향으로 거래가 감소하면서 안정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전세금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4%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양천구(-0.04%)는 약 3000가구에 달하는 목동센트럴 아이파크위브 신규 입주 영향으로 지난주 보합에서 다시 하락 전환했다. 광진구(0.04%)와 용산구(0.02%), 동작구(0.04%) 등지는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그러나 서초(0.08%)와 송파구(0.05%)는 정비사업 이주 등의 영향으로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화제의 뉴스

[단독] '한 채 50억' 해운대 아파트, 전 가구 미분양에 통공매행
'1025대 1' 경쟁률 대치동 새 아파트, '11억 분담금' 폭탄 위기
디벨로퍼 STS, 베트남 '인텔라 시티' 개발에 신세계프라퍼티 합류
대우건설 "개포우성7차, 빌모트 설계로 '공원형 단지' 만들 것"
'김건희 인맥' 서희건설, 지주택 뇌물·공사비 폭탄·하청 갑질까지

오늘의 땅집GO

'김건희 인맥' 서희건설, 지주택 뇌물·공사비 폭탄·하청 갑질까지
6.27 규제 부작용?…"수도권 10건 중 7건이 월세, 전세 소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