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강남·강동은 지고, 노원이 상승률 1위…시흥·부천도 꿈틀

뉴스 전현희 인턴기자
입력 2020.03.06 17:58

[땅집고] 2·20 부동산 대책과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아파트 매매 시장에 찬바람이 부는 가운데 수도권 집값은 지역별로 눈에 띄는 차별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서울에서는 노원·도봉구 등 비 강남권 중저가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재건축 단지가 많은 강남과 강동구는 하락세다. 경기도는 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시흥·부천 등 일부 지역에서 집값 ‘키 맞추기’가 나타나면서 오름 폭이 확대됐다.

[땅집고]서울시 노원구 월계동 '미륭' 아파트./카카오맵
[땅집고]서울시 노원구 월계동 '미륭' 아파트./카카오맵


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노원구 아파트 가격은 평균 0.28% 올라 서울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노원구 상계동 주공2단지와 하계동 한신청구, 월계동 미륭·미성·삼호3차가 호가(呼價) 기준으로 500만~2500만원 상승했다. 월계동 미륭 아파트 전용면적 51㎡ 실거래가는 지난 2월 22일 6억6700만원(10층)이었다.

노원구뿐만 아니라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비강남권 역세권 아파트가 가격 상승세를 이끌었다. 도봉구(0.15%), 동대문구(0.15%), 구로구(0.13%), 성북구(0.12%), 중랑구(0.11%), 금천구(0.10%), 동작구(0.10%) 순으로 올랐다.

[땅집고]서울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부동산114
[땅집고]서울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부동산114


서울 전체적으로 아파트값은 평균 0.05% 상승했다. 재건축은 0.01% 떨어졌다. 강남구는 개포동 주공1·6·7단지, 디에이치아너힐즈가 500만~2500만원 내렸다. 강동구는 고덕동 고덕그라시움, 명일동 삼익그린2차가 1500만~5000만원 하향 조정됐다.

신도시는 분당(0.07%), 동탄(0.07%), 평촌(0.06%), 광교(0.06%), 산본(0.04%), 중동(0.04%) 순으로 올랐다. 분당은 정자동 한솔주공4단지와 서현동 시범한양, 이매동 이매한신 등이 500만~1000만원 올랐다. 동탄은 청계동 동탄2호반베르디움더클래스, 능동 푸른마을포스코더샵2차가 중대형 중심으로 250만~1000만원 상승했다.

[땅집고]신도시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부동산114


경기·인천은 수원(0.32%), 용인(0.28%), 성남(0.25%), 하남(0.21%), 의왕(0.18%), 시흥(0.17%), 안양(0.17%), 광명(0.16%), 부천(0.16%) 순으로 올랐다. 수원은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후 거래문의가 감소했지만, 신분당선과 재개발 호재 영향으로 집값 상승세를 이어갔다. 시흥은 정왕동 시흥배곧SK뷰, 월곶동 월곶1차풍림아이원 등이 최대 1000만원 올랐다. 부천은 오정생활휴먼시아3단지, 송내동 중동역푸르지오 등이 500만~1500만원 뛰었다.

[땅집고]경기·인천 주요 지역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부동산114


임병철 부동산114리서치팀 수석연구원은 “당분간 고가 아파트 중심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됐다”며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에는 대출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수요가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현희 땅집고 인턴기자

화제의 뉴스

생숙 숙박업 신고나 용도변경, 다음달까지 신청하세요
개포우성4차, 시공사 선정 절차 '중단'…재입찰 나선다
"홍보관이 2곳?" 개포우성7차 수주전 홍보지침 위반 논란
'쇼핑 강자' 신세계 2분기 영업익 감소, 전년 대비 36% ↓
공정위, 포스코이앤씨 기습 조사…송도 사옥 '불시 방문'

오늘의 땅집GO

개포우성4차, 시공사 선정 절차 '중단'…재입찰 나선다
'똘똘한 한 채'에 보유세 폭탄 투하설…"정부에 맞서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