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전국 평균 상가 권리금 4276만원…4년 만에 최저

뉴스 이나영 땅집고 인턴 기자
입력 2020.02.25 10:14 수정 2020.02.25 11:15
[땅집고] 부동산 권리금. /상가정보연구소
[땅집고] 부동산 권리금. /상가정보연구소


[땅집고] 내수 불황과 온라인 쇼핑몰 이용 증가 여파로 상가 시장의 위축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감정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상가의 평균 권리금은 4276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5년 이후 4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연도별 상가 평균 권리금은 2015년 4574만원, 2016년 4661만원, 2017년 4777만원, 2018년 4535만원 등이었다.

서울을 포함한 지방 6개 광역시 권리금을 살펴 보면 5130만원인 서울 권리금이 가장 비쌌고, 2위인 인천이 3893만원, 3위 부산이 3760만원, 이어 광주(3705만원)·대전(3497만원)·대구(3279만원)·울산(2140만원)순이었다. 지난해 업종별 상가 권리금을 살펴 보면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이 평균 5337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숙박·음식점(4788만원), 도·소매(4464만원), 부동산·임대업(3009만원), 협회·단체·수리·개인서비스업(2480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불안감이 더해지며 상가 시장 불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내수 경기 침체 지속과 오프라인 점포 매출 감소로 권리금 하락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나영 땅집고 인턴기자

화제의 뉴스

현대건설, 목조 모듈러 OSC 기술 활용 확대 도입 업무협약
동탄서 국평 5억대, 합리적?…입지, 교통 보니 "쌀 만 하네" | 동탄 포레파크 자연앤 푸르지오
BS한양, 밀양-거제에 '총 6260억' 정부 공모 주택사업 수주
JB자산운용, 전남광양 악성 미분양 275가구 사들인다…CR리츠 2호 출시
"새정부, 다주택자에 칼춤 정책하면 강남 집값 천장 뚫린다" 전문가의 경고

오늘의 땅집GO

"분양받은 우리가 죄인?" 하자에 입주도 막힌 2000가구의 절규
민간 아파트 싹 접자, 영업익 30% 쑥…대보건설이 택한 반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