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물려받은 꼬마빌딩 '기준시가'로 신고했다가 세금 폭탄 맞게 생겼네

뉴스 방범권 한국세무회계 대표
입력 2020.02.16 04:54

[방범권의 부동산 稅說] 증여·상속재산 평가 방식 달라졌다는데…


서울에 살고 있는 A씨. 최근 상가·토지 임대업을 하던 아버지로부터 서울 강남의 꼬마빌딩과 토지를 증여받았다. A씨는 관행대로 증여받은 부동산을 기준시가로 신고했다. 그런데 6개월 후 관할세무서에서 “감정평가로 증여 부동산 시가평가를 할 것”이라며 “재산평가액 변동으로 5억원 넘는 세금이 매겨질 수 있다”는 연락이 왔다.

[땅집고] 상속세 및 증여세 제도 변경 내용.


시가를 비교적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아파트와 달리 꼬마빌딩이나 나대지는 시가를 매기기 어렵다. 따라서 그동안 꼬마빌딩이나 나대지를 상속·증여받으면 보충적 평가 방법인 기준시가로 신고하는 것을 당연시했다. 보통 기준시가는 시가의 60% 선이다.

그런데 국세청이 지난해 2월부터 시가평가와 기준시가가 현저히 차이나는 불공정한 평가관행을 개선해 비주거용 건물에 대한 과세형평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주거용 건물 상속·증여 신고가 들어오면 재산평가심의위원회가 ▲상속 9개월 ▲증여 6개월 이내에 심의한 후 시가로 인정되는 감정가액을 매겨 재산평가액을 변경할 수 있도록 시행령이 개정됐다.

앞으로 A씨처럼 기준시가로 상속·증여세를 신고했다가 재산평가액이 감정가액이나 매매가액으로 변경돼 ‘세금 폭탄’을 물게 되는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예기치 못한 추가 세금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꼬마빌딩·나대지는 기준시가 아닌 감정평가해야

최근 국세청은 ‘꼬마빌딩 등 감정평가사업 시행 안내’ 자료를 내놨다. 납세자가 비주거용 부동산이나 나대지를 상속·증여재산으로 신고할 때 기준시가를 활용했다면, 감정기관 두 군데 이상에 의뢰해 평가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감정가액을 산출하고 이 금액을 시가로 삼겠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제부터 비주거용 부동산이나 나대지를 상속·증여받는다면 납세자가 나서서 감정평가기관에 감정평가를 의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평가 기간 안에 마땅한 시가가 없다면 적극적으로 감정가액을 산출해서 신고해야 추후 재산평가액 변동 폭을 줄일 수 있고, 계획에 없던 세금을 내는 일도 없어질 것이다. 더불어 추후 상속·증여 받은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소득세까지 고려한 감정평가를 의뢰해야 절세가 가능하다.

■증여세 폭탄 걱정된다면 ‘건물만 증여’도 고려해볼만


정부가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각종 부동산 규제책을 내놓으면서 부동산 증여를 고민하는 의뢰인들이 부쩍 늘었다. 이들은 자녀에게 부동산을 증여하고 싶은데 증여세 탓에 섣불리 부동산을 못 넘기겠다고 호소한다. 일리 있는 고민이다. 자녀에게 증여하면 증여재산공제(5000만원, 미성년자는 2000만원)를 제외하고 나머지 재산평가액에 대해 누진세율이 10~50%까지 적용돼 세금 부담이 큰 편이다.

이 경우 증여하려는 부동산 중 건물만 먼저 증여하는 방법을 활용해볼 수 있다.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집합건물이 아닌 부동산이라면 건물과 토지가 구분 등기돼 있다. 보통 토지평가액이 건물평가액보다 비싸게 매겨지므로 건물만 증여한다면 증여세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온다. 자녀가 증여로 건물 소유권을 얻으면 임대료 등을 챙길 수 있어 추후 상속세 자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만 건물만 증여하는 것은 평가 과정이 복잡하다. 부모의 토지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부동산 무상사용이익과 부당행위부인 등 여러 세무 쟁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사전에 전문 세무사와 면밀히 상담한 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화제의 뉴스

박근혜 탄핵 때 집값·거래량 단기 하락…윤석열 탄핵도 같을까
[분양 캘린더] 수도권 미분양 무덤에 또 새아파트라니…평택·곤지암에 대단지 분양
서울에서도 안팔리는 아파트 있다…3년 만에 ‘악성 미분양’ 최다 기록
계엄 탄핵사태로 고개드는 집값 폭락론..외국은 저금리 기대로 집값 강세 행진
매입임대 올해 7만가구 심의 "공급 불투명…내년 빌라 전세대란 올듯"

오늘의 땅집GO

호가만 4억 쑥 '분당 선도지구' 무조건 성공?…분담금 폭탄 주의보
"명동부터 홍대까지" 관광객 146만 시대, 입소문 노리는 상가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