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국내 인구이동 47년 만에 최저…수도권은 3년 연속 순유입

뉴스 한상혁 기자
입력 2020.01.29 13:22 수정 2020.01.29 13:26

[땅집고] 지난해 국내 읍·면·동 단위 지역간의 거주지 이동이 반세기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로 장기적 하락 추세에다 지난해 9·13 대책 등의 여파로 주택 매매가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지방으로부터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은 속도를 내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작년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19만3000명(2.6%) 감소한 710만4000명이었다. 인구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은 13.8%로 0.4%포인트 하락,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가장 낮았다.

연도별 국내 총 이동자와 이동률 추이./통계청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동 성향이 높은 연령대인 20~30대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이동 성향이 낮은 60대 인구는 늘어나는 추세고, 경제성장률이 둔화해 인구이동률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전년에 비해서는 9·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주택매매가 감소해 이동자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인구이동 사유별로 보면 주택을 사유로 한 인구이동자 수가 16만3000명 줄었다. 지난해 주택매매량은 전년보다 6.0%(5만1000건), 신규입주 예정 아파트 수는 11.6%(5만3000건) 각각 감소했다. 인구이동 사유 비중은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등이 많았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25.3%)이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15.0%), 서울(14.9%), 경기(14.9%) 등 순이었다.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등 순으로 높았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000명), 세종(2만4000명), 제주(3000명), 충북(3000명), 강원(2000명) 등 5개였다. 경기·세종·제주·충북은 전년보다 순유입이 감소했다.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특히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서울은 10∼20대 이외 모든 연령층에서 인구가 빠져나갔다.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나갔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만3000명이 순유입됐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1만6000명)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2018년(6만명)에 이어 순유입 규모가 더 커졌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화제의 뉴스

공공 매입임대 약정 건수 12만5천건 돌파…심의 통과는 3만5천건
"영종도에 K엔터시티 만든다" 한상드림아일랜드, 빌보드코리아와 제휴
[단독] 도로 없는 유령아파트 '힐스테이트 용인' 준공 4년만에 드디어 공급
3기 신도시 최초 본청약 30일 시작, 인천계양 1106가구 나온다
정부 기관은 "최대치 상승" 공인중개사들은 "4.5% 하락" 엇갈린 분석, 왜?

오늘의 땅집GO

[단독] 공급부족론 폈던 국토연구원, 집값 뛰자 주택 보고서 비공개
'박현철 리더십' 롯데건설 매출 30% 성장…PF 위기 극복 '청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