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1년 새 5억 폭등"…헬리오시티發 전세가 상승 대란 시작?

뉴스 박기홍 기자
입력 2020.01.13 05:34

[발품리포트] 지난해 초 6억원(84㎡)이던 전셋값, 1년 새 11.5억원으로
역전세난 우려하던 곳 순식간에 반전…상승세 주변 아파트로까지 번져
전문가 "신축아파트 집주인 세 안 내놔…당분간 전세금 오를 가능성 커"

[땅집고] “전세 보증금이 1년 새 5억이 올라 거의 두 배가 됐어요. 재계약 때까지 이 상태면 이사가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습니다.”

[땅집고] 송파 헬리오시티 단지 입구./박기홍 기자
[땅집고] 송파 헬리오시티 단지 입구./박기홍 기자


5일 서울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에서 만난 30대 학부모 A씨는 최근 급격히 오른 전세금 이야기를 하면서 한숨을 쉬었다. A씨가 작년 이맘때 이 아파트 단지 84㎡(이하 전용면적) 주택에 전세 6억원에 입주했다. 약 1년이 지난 작년 말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같은 주택의 전세 주택이 11억50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A씨는 “우리처럼 자녀와 함께 이사온 세입자 학부모들이 대부분 벌써부터 전세금 걱정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땅집고] 송파 헬리오시티 실거래가 현황./국토교통부
[땅집고] 송파 헬리오시티 실거래가 현황./국토교통부



[땅집고] 지난해 12월 30일 전용면적 84㎡가 11억500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국토교통부



작년 초 입주한 송파구의 대단지 ‘헬리오시티’는 완공 직전까지만해도 전세금 하락한 대표적인 아파트 단지였다. 한 때 84㎡ 전세금이 5억5000만원까지 떨어지자 헬리오 발(發) 역(逆) 전세난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불과 1년만에 정반대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84㎡ 기준으로 최고액인 11억5000만원을 기록했다. 그 외에 이 크기의 주택 전세금은 대부분 10억원이 넘는다. 전세금이 워낙 높게 치솟다 보니 전세계약이 1년이나 남았는데도, 전세 세입자들이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문제는 헬리오시티에서 시작된 전세금 상승세가 이 아파트 뿐 아니라 주변 아파트 단지로까지 번져 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땅집고] 송파 헬리오시티 단지 내 공인중개소에 붙은 실거래가 현황./박기홍 기자


■ 1년 만에 ‘전세가 폭등’ 진원지로

작년 초 ‘헬리오시티’(전용 84㎡ 기준)의 전세금은 5억5000만~6억5000만원이었다. 헬리오시티는 단지 규모가 총 9510가구로 매머드급이다. 한 지역에서 대규모 입주가 이뤄지다보니 입주하지 않는 집 주인들이 집을 헐값에 전세로 내 놓았고, 이 때문에 전세금이 하락했다. 1만 가구에 달하는 헬리오시티 입주 물량은 강남까지도 여파를 미쳐서 강남3구의 전세금은 3개월 연속 하락했다. 특히, 2018년 9월 강남구의 매매가 대비 전세금 비율은 2013년 4월 이후 처음으로 50% 이하로 떨어졌다.

하지만, 지난해 중반 이후 ‘헬리오시티’의 전세 매물이 대부분 소진되면서 전세금 상승 랠리가 시작됐다. 작년 초 한달 200~300가구에 이르던 전세계약 건수가 지난 여름부터 한 달 평균 20건 안팎으로 줄었다. 11월과 12월에 각각 12건, 6건에 불과했다. 지역 중개업소에선 현재 이 아파트 1만여 가구 중 전세로 나온 매물은 10가구 미만으로 보고 있다. 전세 매물 공급이 줄면서 가격(전세금)이 치솟기 시작했다. 지금은 10억원 이하로는 전셋집을 찾을 수 없다.

전세 공급량이 줄어든 것과 함께 매매 가격이 급등도 전세금 상승세를 이끈 간접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정부가 “부동산은 자신 있다”며 내놓은 공급 축소 정책 덕에 집값이 급등하면서, 전세금도 덩달아 오른 것이다. 이 아파트 전용면적 84㎡ 는 지난해 초 매매가격이 14억~15억원 선이었으나 작년 여름부터 급격히 올라 현재는 19억원대에 달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금 비율)은 59%였다. 헬리오시티는 입주 초기에 물량 공급이 많아 전세가율이 50%도 채 안 됐지만, 매매가가 오르면서 전세금도 서울 평균 전세가율에 맞춰 급등했다.

[땅집고] 송파 헬리오시티 전경./조선DB


반면, 1년뒤 통상 2년 짜리 전세 계약이 만료되던 시점에는 전세금이 다소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헬리오시티’ 입주자 중에서 전세로 들어온 사람은 30~4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년 뒤에는 재계약 가구를 포함해 3000가구에 달하는 전세 매물이 다시 한번 일시에 쏟아지면서 전세금이 다시 약세로 돌아갈 것이란 논리다. 가락동 한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지난해 한창 전세금이 낮을 때 헬리오시티에 들어온 사람들 중에는 지금처럼 높은 보증금에 재계약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아, 전세 매물이 제법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지 중개업소 대부분은 1년 뒤에는 지금보다 가격이 떨어질 수는 있더라도 84㎡ 기준으로 9억원 이상의 전세금 시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송파구에선 내년에 신규로 입주하는 아파트 물량이 거의 없다. 헬리오시티에서 만나 전세 세입자는 “직장과 아이들 학교 문제가 있어 이사 가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며 “값이 오른 금액만큼 월세를 주고 반전세로 사는 것을 생각 중이다”고 말했다.

[땅집고] 전세가 폭등 소식이 뒤덮은 송파 헬리오시티./박기홍 기자



■ 동남권에 부는 '전세대란' 공포

‘헬리오시티’발 전세금 상승세는 송파구와 서울 동남권 지역 전반으로도 번지고 있다. 헬리오시티로부터 3km쯤 떨어진 잠실동 ‘엘스’의 전용면적 84㎡의 경우 지난달 16일 10억원에 전세 계약을 맺었다. 한 달 전에 비해 1억원가량이 올랐다. 잠실 리센츠·파크리오 아파트 상황도 비슷하다. 인근 강동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31일부터 고덕동 롯데캐슬 베네루체,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 총 3600가구가 입주를 시작했고 고덕 아르테온 4000여 가구도 2월말 입주를 앞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덕동 일대 전세금은 떨어질 기미가 안 보인다. 고덕동 B 중개업소 관계자는 “매주 1000만~2000만원 정도 값이 뛰고 있다. 몇 달 전만해도 84㎡ 아파트 전세가 4억원대에 거래되다 지금은 6억원 대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김학렬 더리서치그룹 부동산연구소장은 “정부가 실제 거주를 해야 양도세를 깎아 주는 등의 정책을 내놓아 최근엔 신축 아파트 집 주인들이 세를 내놓지 않고 입주를 하는 경우가 많다”며 “다주택자가 줄면서 임대주택 공급량이 줄어 들고 있어 당분간 전세금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박기홍 땅집고 기자

화제의 뉴스

LH, 올해 19.6조 공사·용역 발주…작년比 1.4조 증액
의료기기 전문기업과 노래방 회사가 만났다, 시니어 헬스케어 협력
상생부동산중개법인, 마곡 원그로브 '부민 프레스티지 라이프케어센터' 임차 계약 완료
서울 대단지 아파트 6억대에 잡는다…백련산힐스테이트 25평 경매
"이 지역에선 사업 못해" 인구 붕괴·기부채납 폭탄에 건설사들 탈주극

오늘의 땅집GO

"이 지역선 사업 못해" 인구 붕괴·기부채납 폭탄에 건설사들 탈주
"182억 날리고…" 이대 역세권 재개발에 밀려 '지주택' 존폐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