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공유형 주택 늘리려면 입주대기 플랫폼, 전용대출 상품 개발해야"

뉴스 이지은 기자
입력 2019.03.28 12:12
지난 27일 서울 중구 을지로길 페럼타워에서 ‘주거, 복지 그리고 서비스’를 주제로 토론회를 연 한국주거복지포럼./ 한국주거복지포럼 제공
지난 27일 서울 중구 을지로길 페럼타워에서 ‘주거, 복지 그리고 서비스’를 주제로 토론회를 연 한국주거복지포럼./ 한국주거복지포럼 제공


“공유형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려면 입주대기 플랫폼, 공유주택 전용 대출 상품 개발 등이 시급합니다.”

박경옥 충북대 교수는 한국주거복지포럼(이사장 이상한) 주최로 지난 27일 서울 중구 을지로길 페럼타워에서 열린 ‘주거, 복지 그리고 서비스’ 토론회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그는 ‘공유형 주택의 주거서비스’ 주제 발표를 통해 “공유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입주자의 범죄 이력 등에 대한 합법적인 검증 시스템을 구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입주 대기자 관리 플랫폼 개발·공유형 주택 생활규약 등을 포함한 표준임대차계약서 마련, 공유형 주택 전용 대출 상품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주거 서비스 분야별 전문가 3명의 주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박지영 대우건설 부장이 ‘민간 임대주택의 주거 서비스’, 김경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거복지사업처장이 ‘공공임대주택의 주거 서비스’, 박경옥 충북대 교수가 ‘공유형 주택의 주거서비스’를 발표했다.

박지영 부장은 “최근 민간 건설사들이 아파트 단지에 참신한 주거 서비스를 접목해 소비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다목적 놀이 공간인 아이러브맘 카페·게스트룸·수납 및 정리 서비스 등이 대표적 사례다. 박 부장은 “건설사들이 앞으로도 소비자 중심의 주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와 법적 기준을 보완해야 한다”고 했다.

김경철 처장은 “작년 말 기준 LH가 운영하는 공공임대주택은 112만가구”라며 “올해에는 청년·신혼부부,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 지원을 강화하고, 재난·화재 대비 시설을 적용한 안전한 임대주택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화제의 뉴스

"원수한테는 집보다 차를 먼저 권해라"…외제차 카푸어의 최후
리모델링 사업도 리츠 투자길 열린다…국토부 입법예고
두산건설, 상반기 매출 전년 대비 24% 줄었지만 영업이익-당기순이익 증가
"모피아의 화려한 부활, 이재명 정부서도 존재감 과시" 국토부 제치고 주택 대책 주도
동작구 옛 청사, 44층 복합시설 개발·서울대 캠퍼스 입주

오늘의 땅집GO

서희건설 '용인 지주택' 입주 1년 지나도 준공검사 못 받아
"모피아, 이재명 정부서도 존재감" 국토부 제치고 주택 대책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