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자가보유율 61.1%로 역대 최고치…10명 중 8명 "내 집 꼭 필요"

뉴스 이상빈 기자
입력 2018.05.08 17:55

지난해 자기 집을 소유한 가구의 비율인 ‘자가(自家) 보유율’이 61.1%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자기가 소유한 집에 자기가 직접 사는 비율인 ‘자가점유율’도 57.7%로 2년 연속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계속 높아져 지난해 82.8%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7~9월 전국 6만가구를 개별 면접해 조사한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격년제로 시행했던 주거실태조사는 올해부터 1년 단위로 바뀌었고 표본 숫자도 2만가구에서 6만가구로 늘어났다.

지난해 전국 자가보유율은 61.1%로 2016년(59.9%)보다 1.2%포인트 증가했다. 2006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높았다.

지역별·소득계층별 자가보유율 추이. /국토교통부 제공


수도권 자가보유율은 52.7%에서 54.2%로, 도 지역은 68.9%에서 70.3%로 각각 올랐다. 지방광역시는 63.1%로 전년도와 똑같았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1~4분위)이 48.5%에서 49.3%로 0.8%포인트, 중소득층(5~8분위)은 62.2%에서 63.8%로 1.6%포인트, 고소득층은 79.3%에서 79.9%로 0.6%포인트 올랐다.

자가점유율은 57.7%로 2016년 56.8%보다 0.9%포인트 올랐다. 2016년에도 2006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였으나 작년엔 이를 다시 넘어섰다.

수도권 자가점유율은 48.9%에서 49.7%로 0.8%포인트 올랐다. 지방 광역시는 59.9%에서 60.3%로 0.4%포인트, 도 지역은 66.7%에서 68.1%로 1.4%포인트 상승했다.

소득계층별로 저소득층(1~4분위)은 46.2%에서 47.5%로 1.3%포인트, 중소득층(5~8분위)은 59.4%에서 60.2%로 0.8%포인트 올랐으나, 고소득층(9~10분위)은 73.6%에서 73.5%로 오히려 줄었다.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응답자 비율은 82.8%를 기록했다. 2014년 79.1%에서 2016년 82%로 오른데 이어 지난해 다시 상승한 것이다.

강미나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평균 70%를 넘어서면서 전월세 부담이 커지는 반면 주택 공급은 늘고 대출 상품도 많아져 수도권 저·중소득층 중심으로 내집을 마련하겠다는 의식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단지. /조선DB


지난해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 거주가 57.7%, 보증금 낀 월세가 19.9%를 기록했다. 전세는 15.2%이었다.

전월세 가구 중 월세 비중은 2016년까지 빠르게 상승했지만 작년엔 다소 정체돼 전년보다 0.1%포인트 줄어든 60.4%를 기록했다.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지난해 전국 5.6배로 전년도와 같았다. 수도권은 6.7배로 광역시(5.5배)와 도 지역(4배)보다 높았다.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월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Rent Income Ratio)은 전국 17%로 지난해(18.1%)보다 줄었다.

생애최초 내집 마련에 걸린 기간은 6.8년으로 2014년 6.9년, 작년 6.7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가구주 연령별 "주택 보유가 꼭 필요하다"는 응답자 비율. /국토교통부 제공


지난해 한 집에 평균 거주한 기간은 8년으로 전년(7.7년)에 비해 소폭 늘었다. 자가 가구는 11.1년이었지만 임차 가구는 3.4년이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의 비율은 5.9%(114만가구)로 전년(5.4%·103만가구)보다 소폭 증가했다.

1인당 평균 주거 면적은 2014년 33.5㎡에서 2016년 33.2㎡, 지난해 31.2㎡로 계속 줄었다. 이는 실태조사 방식이 설문이 아닌 건축물대장 등 행정자료를 확인하는 식으로 바뀐 영향도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97점으로 전년 2.93점보다 소폭 올랐다.

화제의 뉴스

이창용 한은총재 "저소득층 대출이 국민 투기꾼 만들었다"
HDC현산-삼성 손잡고 용산 전면1구역에 '한국판 아자부다이힐스' 만든다
리츠가 실적 견인…코람코자산신탁 작년 영업익 '582억원' 흑자 전환
"강남 허파에 골프장?"… 대모산 파헤치고 파크골프장 추진에 주민 반발
"자이 수건·도마도 판다" GS건설, 인터넷 쇼핑몰까지 진출한 이유

오늘의 땅집GO

"자이 수건·도마도 판다" GS건설, 인터넷 쇼핑몰까지 진출한 이유
"분담금 9억에 패닉"…부산 삼익비치, 99층 랜드마크 무산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