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부동산 규제 쏟아졌지만, 10월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 1% 상승

뉴스 김리영 인턴기자
입력 2017.11.16 12:03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시장 규제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이 전달 대비 1.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10월 말 기준 서울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3.3㎡당 약 2171만원으로 전달보다 1.08% 상승했다고 16일 밝혔다. HUG의 분양가 통계는 공표 시점 기준 최근 1년간 분양가를 평균해 산출한다.

지역별로 수도권의 분양가격은 3.3㎡당 약 1485만원으로 0.49% 상승했다. 반면 5대 광역시와 세종시는 전월보다 1.35% 하락했고 그 외 지방 역시 0.03% 내렸다. 정부가 집값 상승에 제동을 걸기 위해 각종 규제를 쏟아내고 있지만, 아직까지 신규 분양 시장의 분양가격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주택시장에선 “지금은 큰 영향이 없지만, 정부가 지속적으로 주택시장 규제에 나서면 분양가격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10월말 기준 시도별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 전월대비 변동률. /HUG 제공


지난 달 서울 지역은 강동·구로·영등포·은평·중랑구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을 중심으로 총 3952가구가 분양돼 비교적 신규 분양 물량이 많은 편이었다. 평균 분양가 상승에는 지난달 강동구에서 분양한 고덕 아르테온(3.3㎡당 2346만원·일반분양 1397가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남양주·시흥·의정부·이천·파주시 등 총 4186가구의 신규 분양이 이뤄진 경기도의 분양 가격은 전월대비 0.06% 하락해 3.3 ㎡당 약 1194만원을 나타냈다.

부산지역은 기장군, 수영구, 연제구에서 2836가구의 신규 분양이 이뤄졌는데 기존 분양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분양이 이뤄진 기장군, 수영구의 영향과 작년 10월 분양 내역이 이 달 집계 대상에서 빠진 해운대구의 영향으로 3.58% 상승해 분양가격은 3.3㎡당 1227만원으로 조사됐다.

시도 별로 분양가가 가장 많이 내린 곳은 대전(-5.70%)과 울산(-5.50%)이었다.

면적별로는 전용 85㎡~102㎡ 이하 아파트가 3.54% 하락했고 102㎡ 초과 아파트도 3.17% 내렸다.

지난 달 전국의 민간 분양아파트는 총 1만4605가구로 9월 1만1785가구 대비 24% 증가했다. 2016년 같은 달 3만4917가구 대비로는 58% 감소했다.

권역별 민간아파트 ㎡당 평균 분양가격 ./ HUG 제공


화제의 뉴스

재건축 온라인 총회 열고 서명까지…정비사업 패스트트랙법 6월부터 시행
쇼핑카트에 돋보기만 붙여도…"마트에 80대 넘쳐" 시니어 친화 설계 주목
"삼성만 믿었는데 속았다"…공실 지옥된 월세 500만원 '평택' 상권
고양창릉 S5·S6 특별공급, 약 9000명 몰려 '57대1'…20일 일반공급 접수
"용진아, 증여세 1000억 내지마" 양도세 586억 떠안는 이명희

오늘의 땅집GO

"삼성만 믿었는데 속았다"…공실 지옥된 월세 500만원 '평택' 상권
GTX도 안 통한 일산 집값, 4000가구 입주 폭탄에 마피 매물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