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옆집 화장실·발코니 담배 냄새, 관리사무소에 막아달라고 하세요

뉴스 한상혁 기자
입력 2017.08.09 11:30

아파트의 베란다·화장실을 통해서 층간 간접흡연 피해가 발생하면 관리사무소가 직접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법안이 마련됐다.

국토교통부는 공동주택 간접흡연 피해를 막기 위해 관리사무소가 적극적으로 세대 내 금연을 권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공동주택관리법 개정안을 9일 공포했다.

아파트 베란다의 모습/조선일보DB

개정안에는 아파트의 베란다·화장실 등을 통해 간접흡연 피해가 발생할 때 ▲관리사무소가 입주민을 대상으로 금연 권고, 피해 사실관계 확인, 조사 등을 실시할 수 있고 ▲간접흡연 피해 방지를 위한 교육과 협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입주민들은 간접흡연 피해 분쟁을 조정하기 위한 자치조직을 구성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토부 관계자는 “개정안이 시행되더라도 아파트의 관리사무소가 베란다와 화장실 등 집의 내부 장소에 담배를 피우지 못하도록 강제할 수는 없지만, 입주민들의 동의가 있으면 관리사무소 차원에서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아파트 베란다나 화장실을 통한 간접흡연 피해가 발생해도 사적인 영역에 속한다는 이유로 공동체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웠다.

단, 지금도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아파트 등 공동 주택의 복도, 계단, 승강기,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공용 공간은 관리사무소가 입주민의 과반수 동의를 얻어 금연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개정안과는 별도로 2015년 9월 이후 새로 짓는 공동주택에 대해 가구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냄새, 연기가 다른 집으로 옮겨가는 경우 각 가구별로 전용 배기덕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배기설비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화제의 뉴스

"온라인 총회 열고 서명까지 쓱쓱"…재건축 패스트트랙법 6월부터 시행
쇼핑카트에 돋보기만 붙여도…"마트에 80대 넘쳐" 시니어 친화 설계 주목
"삼성만 믿었는데 속았다"…공실 지옥된 월세 500만원 '평택' 상권
고양창릉 S5·S6 특별공급, 약 9000명 몰려 '57대1'…20일 일반공급 접수
"용진아, 증여세 1000억 내지마" 양도세 586억 떠안는 이명희

오늘의 땅집GO

"삼성만 믿었는데 속았다"…공실 지옥된 월세 500만원 '평택' 상권
GTX도 안 통한 일산 집값, 4000가구 입주 폭탄에 마피 매물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