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 시장 예측이 또 빗나가는 모습이다. 당초 공급 과잉과 집값 약세가 예상됐지만 현실은 다르게 흘러가고 있다.
당장 올 들어 아파트 중도금 대출 규제 등으로 지난달 주택 인허가 실적과 분양·착공 물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물량도 아직까지 작년과 비교해 큰 변동이 없다. 당초 업계에서는 올해 주택 공급 과잉을 우려했던 것과 정반대 상황이다.
집값도 마찬가지다. 당초 전문가들은 올해 집값이 약세를 보일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아파트값은 이달 들어 빠른 회복세를 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그러나 그동안 탄핵과 대선 등 정치 이벤트로 인해 주택 시장이 사실상 제대로 돌아가지 않았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이 제거된 5월 이후 시장 동향을 좀 더 지켜봐야 정확한 흐름을 알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4월 전국의 주택 인허가 실적은 4만3568가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7.0% 줄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다.
지역별로 보면 지방의 감소 폭이 조금 더 큰 상황이다. 수도권은 2만1357가구, 지방은 2만2211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1.4%, 31.7%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만5459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38.3% 줄어 감소세가 컸다. 아파트 외 주택(1만8109가구)은 1.5% 감소에 그쳤다.
지난달 아파트 분양 물량도 전국 1만3794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68.4% 급감했다.
주택 착공 실적도 큰 폭으로 줄었다. 전국 3만3756가구로 작년 같은 달보다 49.3% 감소한 것. 특히 아파트는 감소 폭이 63.8%에 달한다.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 강화, 대선을 앞둔 불확실성 증가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4월 주택 준공 실적은 전국 4만9554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8% 감소했다. 올해 누적 기준으로는 작년보다 3.6% 증가한 15만5831가구를 기록 중이다. 준공 물량의 경우 수도권은 작년보다 23% 감소한 반면 지방에서는 20% 정도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인허가 물량이 2015년과 2016년에 평년보다 많아 감소폭이 더 크게 느껴지는 것”이라며 “분양과 착공의 경우 대개 4~5월이 성수기인데 대선 때문에 5~6월로 분양일정이 연기돼 감소폭이 커졌다”고 했다.
아파트값은 문재인 정부 이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감정원 조사를 보면 지난 2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값 상승폭은 0.05%로 전주(前週·0.03%)보다 확대됐다. 특히 서울은 0.2% 올라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아파트값이 치솟자 집주인들은 매물을 속속 회수하고 계약 취소 소동도 벌어지고 있다. 서울 잠원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잠원 한신2차 아파트의 경우 평형별로 1~2채씩은 집주인들이 '나중에 팔겠다'며 의뢰를 취소하거나 호가를 올린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대선 공약에서 밝힌 것처럼 가계부채 관리 차원에서 LTV(주택담보대출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를 과거 수준으로 강화할 경우 집값이 조정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