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부동산 전망 살펴보니
일시적으로 시장 달아올랐지만 서울·지방 집값 희비 엇갈릴 듯
새 정책 수혜 지역엔 돈 몰려 도시재생 선정지 투자 유망
부동산 시장이 대통령 선거가 끝나면서 눈에 띄게 살아나는 분위기다. 대선 기간을 피해 분양 일정을 조정했던 아파트 단지들이 한꺼번에 공급되면서 청약 시장이 달아올랐다. 지난 15일 한국감정원 조사에서는 기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도 1주일 전보다 0.13% 상승, 올해 주간 상승률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띠는 것에 대해 상당수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선이라는 불확실성이 제거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본지가 부동산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하반기 집값은 서울과 지방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세를 타겠지만, 지방은 입주 물량 증가로 소폭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반기에도 여전히 서울과 부산의 재건축 단지의 인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새 정부가 핵심적으로 추진하는 부동산 정책의 반사 효과를 누리는 지역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를 피하는 단지나 새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도시재생' 정책으로 소규모 정비 사업이 가능한 곳이 투자 유망 지역으로 꼽힌다.
◇하반기 입주 물량 따라 희비 갈릴 수도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올해 수도권 집값은 최고 3% 상승, 지방은 1~3% 정도 내릴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는 "하반기에는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고, 내수 경기 침체가 이어질 수 있다"며 "수도권도 서울 중심으로 국지적인 상승세가 전망되고, 입주 예정 물량이 많은 지방 도시에서는 전세와 매매가격이 동반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콘텐츠본부장은 "당분간은 거래량도 많고 청약경쟁률도 높아질 것으로 보이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입주 물량 리스크가 커지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양상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6월부터 연말까지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5만 가구가 넘는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10만2921가구로 가장 많고, 경남(1만9502가구), 경북(1만7772가구), 충남(1만5711가구), 인천(1만4856가구) 순이다.
전세금은 소폭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서울은 강남구 '개포주공3단지'와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의 이주가 본격화하면서 인근 수도권 지역까지 전세 물건이 품귀 현상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전문대학원 교수는 "대규모 재개발·재건축 단지가 이주를 시작하면 서울 전·월세 가격은 2~3%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성남·하남·분당 등 수도권 지역의 전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금도 미분양·입주 물량 등에 따라 지역별로 서로 다르게 움직일 거란 분석도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 연구원장은 "서울 전세금은 상승하고, 수도권 지역은 강보합일 것으로 보이나 입주 물량이 많은 일부 지방은 전세금이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시재생 수혜 지역에 투자수요 몰릴 듯
대선 이후 투자 유망 상품은 작년 부동산 활황(活況)의 주역이었던 서울·부산의 재건축 아파트를 꼽는 의견이 다수였다. 최창욱 건물과사람들 대표는 "주거 비용이 비싸다 하더라도 학군·중심 상권 등이 몰려 있는 대도시에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꾸준히 존재하기 때문에 가격도 계속해서 오르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천현숙 국토연구원 연구위원과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은 "이번 정부에서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유예 기간을 늘려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올해 하반기 전에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환수제 적용을 피한 재건축 아파트들의 몸값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가 도시재생을 핵심 부동산 정책으로 발표하면서 관련 지역을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현재 정부가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선정해 사업을 진행하는 지역은 전국적으로 46곳이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시재생 선도 사업지의 경우 개발 기대감이 시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공적 재원을 투입해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면 수혜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크게 오르겠지만, 이에 대한 개발이익 환수 등이 사회 이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