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제주 부동산값 상승률 1위… 땅부자 늘었지만 빚도 늘었다

뉴스 금원섭 기자
입력 2017.05.14 19:20
제주에서 농사를 짓겠다며 농지를 사 놓고 불법으로 전용한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의 불법 전용 농지. /연합뉴스
제주에서 농사를 짓겠다며 농지를 사 놓고 불법으로 전용한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의 불법 전용 농지. /연합뉴스


"제주도엔 '100억원 가진 할망(할머니의 사투리)들'이 많수다."

요즘 제주도에 가면 들을 수 있는 얘기다. 최근 몇 년 동안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집안 대대로 가지고 있던 논·밭·과수원·산 등이 '초(超)거액 자산'이 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서귀포시에 사는 고모(49)씨는 "지난달에도 평당 350만원 넘는 값에 거래된 밭이 있었는데, 이런 땅이 3000평이면 100억원을 넘지 않느냐"며 "'100억원 할망'이 터무니없는 말은 아닌 셈"이라고 했다. 그는 또 "이렇게 되면서 제주도에 사는 '노모(老母)를 자주 찾아뵙고 잘 모시는 자식이 많이 늘었다'는 우스갯소리도 나돈다"고 했다.

실제로 제주도의 땅값과 집값은 크게 뛰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제주도 표준지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18.7% 상승했다. 상승률 전국 1위로, 전국 평균(4.9%)의 3.8배였다. 2위인 부산(9.2%)과도 큰 격차를 보였다.

제주도 집값 상승률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작년 제주도의 표준 단독주택 가격 상승률(18%)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평균(4.8%)의 3.8배 수준이었고, 2위 부산(7.8%)은 제주도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부동산값이 오르면서 사람들의 씀씀이도 커지고 있다. 제주도 출신으로 서울에서 직장에 다니는 김모(47)씨는 "명절 때 고향에 가면 외제차를 몰고 나와 '좋은 데 가서 술 한잔 사겠다'는 친구들이 적지 않다"며 "물려받은 농토 값이 자꾸 오르면서 벌어진 일"이라고 했다. 차 한 대에 5억원쯤 하는 최고급 외제차 벤틀리 매장까지 작년 제주시에 문을 열었다.

부동산을 팔아 돈을 번 사람들이 생기면서 제주도의 저축액 증가율은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으로 제주도의 은행, 농협 등 금융회사에 예치된 돈은 28조9000억원으로, 2013년 말에 비해 7조6000억원(36%) 늘었다.

부동산 가격 급등이 제주도 주민들에게 꼭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제주시에 사는 주부 이모(51)씨는 "2~3년 전에 4억원대이던 40평대 아파트가 이제는 8억원대로 올랐다"며 "투기나 투자가 아니라 실제로 들어가 살 집을 원하는 서민들은 빚을 더 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작년 말 기준 제주도의 가계 대출은 11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조1000억원(38.9%) 늘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화제의 뉴스

[부고] 이광래 우미그룹 창업자 별세
노인복지주택 전문가 과정 개강… 시니어주택 성공 운영 노하우 전수
'49층 재건축' 여의도 대교, 공사비 평당 1120만원 시공사 선정 공고
BS한양, 인프라·건축·외주구매·에너지 분야 AI 스타트업과 협업
DL이앤씨, 오픈 이노베이션 통해 유망 스타트업과 협업 추진

오늘의 땅집GO

[단독] 애물단지 된 위례 2500억 황금땅…호반건설 6년째 방치
"강남은 멀쩡한데…" 10억 이하 단지 계약 줄취소에 실수요자 멘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