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일산~삼성동 17분 주파" GTX A노선 첫 관문 통과…2023년말 개통

뉴스 고성민 기자
입력 2017.04.04 10:53 수정 2017.04.04 10:55
GTX A노선 노선도 및 사업 추진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GTX A노선 노선도 및 사업 추진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서울역까지 13분, 삼성역까지 17분이면 닿을 수 있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일산~삼성(A노선) 구간 건설 사업이 닻을 올렸다.

국토교통부는 GTX A노선 건설을 위한 첫 관문이었던 민자사업 타당성 분석을 마치고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RFP) 수립에 착수한다고 4일 밝혔다.

국토부는 기본계획안 수립이 끝나는 올 하반기까지 민간투자심의위원회 심의를 마칠 계획이다. 이후 민간으로부터 사업제안서를 받아 내년 초까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2018년 착공해 2023년말 개통할 계획이다.

GTX(광역급행철도) A,B,C노선망.    /국토교통부 제공
GTX(광역급행철도) A,B,C노선망. /국토교통부 제공


GTX A노선은 파주 운정~일산~삼성~동탄 간 83.3㎞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이 중 파주~일산 구간(6.4㎞)은 지난해 12월부터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삼성~동탄 구간(39.5㎞)은 재정사업으로 이미 지난달 착공했다. 오는 2021년 개통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3조5000억여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GTX는 일반 지하철보다 3~4배 빠르게 운영하고, 환승역 위주로 정차한다. 평균 속도는 시속 116㎞이며 최고 시속은 180㎞다.

GTX가 개통하면 킨텍스~서울역(26㎞) 간 13분, 킨텍스~삼성(37㎞) 간 17분, 삼성~동탄(38㎞) 간 19분에 도달할 수 있다.

GTX A노선 건설에 따른 거점지역간 이동시간 변화. /자료=국토부


국토부는 “하루 평균 30만명이 GTX A 노선을 이용할 것으로 예측한다”며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면서 재정사업 추진 대비 30~40%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정부와 민간이 손실과 이익을 공유하는 위험분담형(BTO-rs) 방식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기본계획이 고시된 신안산선 복선전철(안산 시흥~여의도)에 이어 두 번째 BTO-rs 사업이 될 전망이다.

화제의 뉴스

"더클래식500 13년 경험, 핵심은 시니어 건강관리" 숏텀 요양이 뭐길래
"아파트 색 촌스러워" 입주민 불만…'기부왕' 부영의 특이한 색감 취향
'미분양 도시' 집값 때려잡은 이재명 정부 6·27 대책…지방 살릴 해법은
"폐업해도 12억 갚아라" 어반베이스, 신한캐피탈과 투자금 연대책임 소송전 패소
엔씨소프트, 강남 사옥 '4435억'에 매각…"신사옥 재원 확보"

오늘의 땅집GO

"폐업해도 12억 갚아라"어반베이스-신한캐피탈 연대책임 판결
'위례 땅' 2500억 날릴 뻔한 호반건설…LH, 3300억 혈세 구제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