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13억 뛴 연남동 상가주택, 세금 폭탄 피한 이유

뉴스 문진혁 우리은행 세무자문팀장
입력 2017.03.18 06:40

[節稅의 기술] 2007년에 산 연남동 상가주택, 세금 폭탄 맞을까?

Question:
부동산 시장이 다소 잠잠하던 2007년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서 급매로 나온 상가주택을 5억원에 샀습니다. 지하1층~지상 3층짜리인데 당시에도 연남동이 좀 뜬다는 얘기가 있었죠. 지금은 연남동이 워낙 인기가 좋으니까 당시로서는 운이 좋았던 셈입니다.

그런데 최근 부동산 중개업소에게서 이 상가주택을 18억에 팔라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제법 큰 차익(13억원)이 남고 팔 수 있는 기회여서 기분은 좋은데, 엄청난 세금이 나올 것 같아 걱정이 앞섭니다. 이 정도면 정말 세금 폭탄을 맞을까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신도시에 지은 점포형 주택.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사진가 박완순 제공
경기도 성남시 분당신도시에 지은 점포형 주택.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사진가 박완순 제공


Answer:
결론부터 말하자면, 양도차익 13억원의 2.5% 수준인 3200만원의 세금만 내면 된다. 양도차익은 매무 많지만 ‘세금 폭탄’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올해부터 소득세(지방소득세 포함) 최고세율은 당초 41.8%에서 44%로 올랐다. 소득이 5억원 넘으면 최고 44% 세금을 매긴다. 다만 집이나 상가 등 오랜기간 보유하던 부동산을 팔아 양도소득을 남긴 경우에는 장기보유에 따른 기간이익을 감안해 연간 3%씩 최대 30%를 양도차익에서 빼고 양도세를 계산한다.

또 국민 주거생활 안정을 보장한다는 취지로 ‘1가구 1주택자’인 경우에는 주택 매도가액 중 9억원까지는 양도세가 100% 비과세된다. 9억원 넘는 금액도 연간 8%씩 최대 80%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해 차감하고 양도세를 계산한다.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같은 일반소득에 비해 부동산 양도소득이 30% 정도 소득세 절감 효과가 있고,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의 경우 100%에 가까운 절세 효과가 있다.

10년 전 5억원에 매입한 상가주택을 18억원에 매각할 경우 매도자의 상황에 따른 양도소득세 계산 사례. /자료=문진혁 세무사
10년 전 5억원에 매입한 상가주택을 18억원에 매각할 경우 매도자의 상황에 따른 양도소득세 계산 사례. /자료=문진혁 세무사


결국 양도세를 낸 뒤의 수익(양도세 세후 수익) 측면으로 볼 때 똘똘한 집 한 채를 갖고 있는 것이 여러 채의 부동산을 갖고 있는 것보다 훨씬 유리하다. 이때 ‘1가구 1주택 양도세 비과세’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같이 살고 있는 전 가족이 오직 집 한 채를 보유하고, 해당 집을 최소 2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집값이 9억원 넘어도 연간 8%씩 최대 80%까지 장기보유에 따른 특별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집값이 비싼 경우에는 가급적 오래 보유한 이후에 파는 것이 유리하다.

이 점도 알아두면 좋다. 아파트나 단독주택 뿐만 아니라 다가구주택과 상가 주택(단, 주택 사용면적이 상가 사용면적보다 큰 경우에 한함)도 양도세를 계산할 때 건물 전체를 1개의 주택으로 본다는 점이다.

이를 감안하면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 다가구주택이나 상가주택은 매력적인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다. 임대소득은 물론이고 다른 집 없이 1가구 1주택인 상태에서 매도하면 양도세 비과세 효과까지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화제의 뉴스

[단독] 올림픽파크포레온 복도 벽 곳곳에 대형 크랙…주민들 "구조결함 아니냐" 불안
역대급 제안도 걷어찬 방배신삼호 재건축…HDC현산과 수의계약 부결
"'미쳤다' 소리들으며 대출받아 산 집이 30억"…잠실 아파트 소유자가 밝힌 뒷이야기
"이재명의 대출 규제 폭탄, 서울 아파트 버블 붕괴시킬까?"
폭염에는 '야간 골프'가 핫하네…저렴한 그린피로 갓성비, 얼마길래

오늘의 땅집GO

"이재명의 대출 규제 폭탄, 서울 아파트 버블 붕괴시킬까?"
폭염에는 '야간 골프'가 대세…갓성비 그린피, 얼마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