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정권 바뀌더라도 중산층 임대주택은 계속 공급돼야"

뉴스 김성민 기자
입력 2017.02.10 01:54

[오늘의 세상]

"정권이 바뀌면 '뉴스테이'가 위기를 맞을 수 있습니다."

9일 정부의 한 고위 공무원은 공공 임대주택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자 한숨을 푹 쉬었다. 뉴스테이(New Stay)는 임대료 인상률을 연간 5%로 제한하고, 세입자가 최장 8년간 저렴한 월세로 살 수 있는 기업형 임대주택이다. 2015년부터 추진된 뉴스테이는 박근혜 정부의 대표 주택 정책이다. 지금까지 공급된 단지 대부분이 높은 청약 경쟁률로 '완판(完販)'됐고, 건설사도 뉴스테이 사업 확대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조기 대선'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뉴스테이가 곧 고사(枯死)할 것이라는 전망이 파다하다. 한 정부 관계자는 "뉴스테이 관련 예산을 대폭 줄이고, 소득이 더 적은 서민 대상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야권(野圈) 주장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공공 임대주택 정책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춤을 췄다. 이명박 정부 때 선보인 '보금자리주택'은 정권 교체와 함께 2013년 정책이 중단됐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추진한 장기전세주택(시프트)도 최근 공급량이 눈에 띄게 줄었다. 권대중 명지대 교수는 "뉴스테이가 주택 수요자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정권이 바뀌더라도 중산층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을 계속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화제의 뉴스

현대건설, 목조 모듈러 OSC 기술 활용 확대 도입 업무협약
동탄서 국평 5억대, 합리적?…입지, 교통 보니 "쌀 만 하네" | 동탄 포레파크 자연앤 푸르지오
BS한양, 밀양-거제에 '총 6260억' 정부 공모 주택사업 수주
JB자산운용, 전남광양 악성 미분양 275가구 사들인다…CR리츠 2호 출시
"새정부, 다주택자에 칼춤 정책하면 강남 집값 천장 뚫린다" 전문가의 경고

오늘의 땅집GO

"분양받은 우리가 죄인?" 하자에 입주도 막힌 2000가구의 절규
민간 아파트 싹 접자, 영업익 30% 쑥…대보건설이 택한 반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