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인기높던 '꼬마빌딩'도 거래 급감…"경제 불확실해 투자 관망"

뉴스 이재은 기자
입력 2016.12.13 14:28 수정 2016.12.13 14:32

최근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계절적 비수기가 겹치면서 그동안 인기 높던 이른바 ‘꼬마빌딩’(중소형빌딩) 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부동산리서치회사인 리얼티코리아는 “11월 전국 중소형 빌딩 매매 거래는 총 84건, 거래대금은 약 4680억원으로 전월(123건·약 6342억원)보다 급감했다”고 13일 밝혔다. 문소임 리얼티코리아 수석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중소형 빌딩에 대한 매수를 보류하거나 관망하는 분위기”라며 “여기에 11~12월 거래량이 급감하는 계절적인 요인도 더해졌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 강남 교보타워 일대에 있는 중소형 빌딩,
서울 강남구 논현동 강남 교보타워 일대에 있는 중소형 빌딩,


매수자는 개인이 전체의 60.6%로 법인(39.4%)보다 많았다. 10월에는 10건 중 9건(89.2%)이 개인에게 거래됐던 것과 비교하면 대폭 감소한 수치다. 이는 개인 매수자들이 많이 찾는 50억원 이하 빌딩의 거래 감소로 이어졌다. 전월(87건) 대비 31건 감소한 56건만 거래됐다.

문 연구원은 “금리 인상 추이를 보고 매수하겠다는 이들이 많다”면서 “부동산 시장은 금리가 오르면 투자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매수 심리도 얼어붙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업계에서는 현재 기준금리 1.25%에서 대폭 오르지 않는 한 중소형 빌딩 투자수요는 꾸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시중 부동자금이 1300조원에 달하는데 마땅한 투자 상품이 없는 것도 수익형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 유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문 연구원은 “저금리 시대에 평균 2~3%대 수익률을 보였던 중소형빌딩 시장은 큰 메리트였다”며넛 “금리가 오르면 매력이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당장 수요가 급감하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화제의 뉴스

샐러리맨이 서울 아파트 마련한 비결 "소액으로 부동산 투자부터…"
[속보] 벽에 금간 '올파포'…입대의 구조안전진단 요청
'선시공-후분양' 가산동 비젼파크 지식산업센터, 가성비 가격에 직접 보고 계약 가능
DL이앤씨, 업계 최초로 주택 전 현장에 '드론 플랫폼' 적용
우미-케어링, 손잡고 시니어하우징 시장 본격 진출

오늘의 땅집GO

"분당서 제일 먼저 입주 목표" 단독주택촌, 2000가구 재개발 추진
대통령 지시로 수술대 오른 '지옥주택'…업계 1위 서희건설 운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