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20~30대, 월급 한 푼 안쓰고 12년 이상 모아야 서울에 아파트 산다

뉴스 이재은 기자
입력 2016.11.28 10:37 수정 2016.11.28 10:40
우리나라 20~30대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2년 이상 모아야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선일보DB
우리나라 20~30대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2년 이상 모아야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조선일보DB


우리나라 20~30대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2년 이상 모아야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 자료를 보면 올해 3분기 39세 이하 가구주의 월평균 처분가능 소득은 371만원이다. 한국감정원이 평가한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5억5480만원으로, 평균 소득의 20~30대 가구주가 약 12년 6개월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에 평균 매매가의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다.

주거비 부담이 커지면서 서울에서 20~30대가 아파트를 마련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점점 길어지는 추세이다. 2013년 약 11년 6개월이던 기간이 2014년에는 약 11년 7개월, 지난해에는 약 12년 11개월까지 늘어났다.

그러나 소비지출에 들어가는 비용을 제외하면 이 기간은 더 길어진다. 처분가능 소득은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세금, 공적연금, 사회보험 등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 지출분은 배제됐다.

소비지출을 하고 가구가 자산 매입과 저축에 활용할 수 있는 금액은 올해 3분기 기준 월평균 120만원 수준이다. 20~30대 가구주가 매달 120만원을 모아 집을 마련하려면 약 38년 6개월이 소요된다.

이런 현실에서 자연스럽게 은행·금융권에서 대출받아 ‘내 집 마련’에 나서는 20~30대가 증가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현황을 보면 올해 3월 말 30대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01조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0조4천억원(11.5%) 늘었다.

20대의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지난해 말 6조5000억원에서 3개월 만에 9조4000억원으로 2조9000억원(44.6%)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40대가 받은 주택담보대출은 2조2000억원(1.3%) 늘어나는 데 그쳤고, 50대와 60대 이상에선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각각 4조4000억원, 8조1000억원 줄었다.


화제의 뉴스

10억 아파트 세입자, 2년 뒤 3000만원 버는 시대 왔다…'이것' 뭐길래
“창원 스타필드 생기긴 하나요?" 5년째 터파기 공사만…개장 또 연기
[단독] "일반분양 180가구 늘어난다" 목동 5단지, 학교 짓고 임대 줄인다
리츠업계, "올해 배당금 올린다…지금이 투자 적기" 전략 발표
지방 미분양 '수성레이크우방아이유쉘' 288가구, CR리츠 1호가 매입

오늘의 땅집GO

비상경영 선언 '무신사', 탈출구는 부동산? 성수동 건물 싹쓸이 중
"국내 골프장 순거품" 10분의 1 가격에 日골프장 사들이는 기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