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새 아파트 전세금, 낡은 아파트 매매값 추월

뉴스 김성민 기자
입력 2016.11.08 03:06

입주 5년 이하 전세 아파트 3.3㎡당 평균 1791만원… 서울시 16개구 매매값 넘어서

지난 8월 서울 노원구 중계동 '한화 꿈에그린 더 퍼스트(2014년 입주)'의 전용면적 59㎡형은 3억4000만원에 전세계약이 체결됐다. 이 단지에서 200m 떨어진 중계동 '삼성아파트(1999년 입주)' 같은 면적형은 지난 9월 2억8300만원에 매매가 됐다. 입주 2년 된 새 아파트의 전세금이 인근에 오래된 아파트의 매매가격보다 높은 것이다. 부동산 리서치 업체 '부동산114'는 "서울의 입주 5년 이하 새 아파트 3.3㎡당 평균 전세금은 1791만원으로, 서울 16개 구의 3.3㎡당 평균 아파트값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서울 중구(3.3㎡당 1775만원), 영등포구(1681만원), 종로구(1642만원), 동작구(1642만원), 강서구(1474만원), 서대문구(1410만원) 등의 아파트값이 서울 새 아파트 평균 전세금보다 낮았다. 서울에서 3.3㎡당 평균 아파트값이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1087만원)였다. 금천(1090만원), 중랑(1144만원), 강북(1167만원)구도 아파트값이 싼 편이었다. 새 아파트 전세금으로 인근 지역의 오래된 아파트를 매입할 수 있는 것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입지를 중시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공간 효율성이 뛰어나고 생활 편의시설 등이 잘 갖춰진 새 아파트 수요가 높아졌다"며 "특히 서울의 경우 전체 공급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새 아파트 전세금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화제의 뉴스

'반값 보증금' 미리내집, 非아파트로 확대 "신혼부부 주거 문제 끝"
광주 랜드마크 꿈꾸는 '챔피언스시티' 국평 10억 역대 최고가 분양
서울 도심 재개발, '실버타운' 20% 이상 지으면 파격 혜택, 뭐길래
"30평 살던 부모님, 1.5룸 산다면…" 실버타운 입주 흥행 막는 함정
HDC현산, 송파한양2차 '스마트 AI' 랜드마크로 짓는다

오늘의 땅집GO

"30평 살던 부모님, 1.5룸 산다면…" 실버타운 입주 막는 함정
"노무현·윤석열 짜깁기" 李정부 첫 공급대책에 쏟아진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