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새 아파트 전세금, 낡은 아파트 매매값 추월

뉴스 김성민 기자
입력 2016.11.08 03:06

입주 5년 이하 전세 아파트 3.3㎡당 평균 1791만원… 서울시 16개구 매매값 넘어서

지난 8월 서울 노원구 중계동 '한화 꿈에그린 더 퍼스트(2014년 입주)'의 전용면적 59㎡형은 3억4000만원에 전세계약이 체결됐다. 이 단지에서 200m 떨어진 중계동 '삼성아파트(1999년 입주)' 같은 면적형은 지난 9월 2억8300만원에 매매가 됐다. 입주 2년 된 새 아파트의 전세금이 인근에 오래된 아파트의 매매가격보다 높은 것이다. 부동산 리서치 업체 '부동산114'는 "서울의 입주 5년 이하 새 아파트 3.3㎡당 평균 전세금은 1791만원으로, 서울 16개 구의 3.3㎡당 평균 아파트값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서울 중구(3.3㎡당 1775만원), 영등포구(1681만원), 종로구(1642만원), 동작구(1642만원), 강서구(1474만원), 서대문구(1410만원) 등의 아파트값이 서울 새 아파트 평균 전세금보다 낮았다. 서울에서 3.3㎡당 평균 아파트값이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1087만원)였다. 금천(1090만원), 중랑(1144만원), 강북(1167만원)구도 아파트값이 싼 편이었다. 새 아파트 전세금으로 인근 지역의 오래된 아파트를 매입할 수 있는 것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입지를 중시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공간 효율성이 뛰어나고 생활 편의시설 등이 잘 갖춰진 새 아파트 수요가 높아졌다"며 "특히 서울의 경우 전체 공급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새 아파트 전세금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화제의 뉴스

"공포의 역주행 사고, 한방에 무너졌다".. '유령도시'로 전락한 수도권 최대 레저타운
강남은 압구정, 강북은 '이곳'…김동선 한화갤러리아의 부동산 쇼핑
8호선 판교 연장, 이번엔 될까?…성남시, 이르면 6월 예타 재신청
철산주공8·9단지 재건축, 30일 입주 앞두고 GS건설 '520억 증액' 갈등 봉합
"메이플자이 온대" 서초구 전세금 2억 뚝…올해에만 매물 2000건 폭증

오늘의 땅집GO

"메이플자이 온대" 서초구 전세금 2억 뚝…올해 매물 2000건 폭증
일산·분당 재건축 '올스톱'…차기 정부서 물거품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