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10년 후엔 전용면적 40~60㎡짜리 주택이 대세

뉴스 이송원 기자
입력 2016.05.26 03:06

주택산업硏 1020명 조사
低성장 계속, 다운사이징 선호

저(低)성장 기조가 계속되면서 앞으로 10년 후에는 전용면적 40~60㎡짜리 주택이 대세로 부상(浮上)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김지은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 서울 건설회관에서 열린 '미래 주거 트렌드' 세미나에서 앞으로 10년 뒤 1979~1992년생들이 본격적으로 주택시장 구매 수요 계층으로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새롭게 주택 시장에 진입한 세대들은 가족 수에 맞는 적정 규모의 주택을 선호하고, 디자인보다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현재 강세인 전용면적 60~85㎡가 계속 인기를 끌겠지만, 다운사이징이 추가로 나타나 초소형 주택 선호 현상이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망은 여론조사 업체 갤럽이 지난달 전국 성인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 것이다. 김 연구원은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가 주택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주택 구매의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기 시작했다"며 "베이비붐 세대는 관리비 등의 주거비 부담을 가장 크게 고민하고 있으며, 그 해답으로 에너지 절감 주택, 그린하우스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했다. 이와 함께 ▲녹지(綠地) 인근 주택 선호 ▲1인 가구의 초소형 주택 선호 ▲임대사업 보편화 등이 향후 10년간 주택 문화의 '메가 트렌드'(Mega Trend)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같은 세미나의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미경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주택 임대 시장에서 월세 거래 비중이 2011년 31%에서 2015년 41.2%로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비(非)수도권, 비아파트, 소형 주택의 월세 거래 비중이 높다"며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또 '생애 주기와 소득에 따른 양극화' 문제를 제기했다.

2002~2014년 사이 본인 소유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평균 소득 증가율은 24.9%, 임차 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12%였다. 저소득층의 소득은 적게 느는데 주거비 부담은 많이 늘어난 것이다.

화제의 뉴스

강남 고급 아파트 옆 빈민촌 '구룡마을' 기구한 역사, 재개발 갈등에 불법 망루 오른 주민들
[이주의 분양단지] 노원 '서울원아이파크' 등 전국 9개 단지 9642가구 분양
서초·강남, 서울 부동산 계급도 꼭대기...'강남 4구' 자처한 강동·동작은 10위권
평생돌봄 서비스가 덫이 된 실버타운의 파산
서울역과 수원 출근하는 맞벌이 부부가 찾은 7억대 초품아 전셋집

오늘의 땅집GO

평생돌봄 서비스가 덫이 된 실버타운의 파산
서울역, 수원 출근 맞벌이 부부가 찾은 7억대 초품아 전셋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