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우리나라 월소득 430만원 중산층, 서울서 아파트 구매 어려워

뉴스 박정현 기자
입력 2015.10.20 15:21

우리나라 중산층은 서울에서 아파트를 사는게 사실상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 2분기 기준으로 우리나라 평균 가구소득(월 430만원)과 평균 순금융자산(9200만원)을 보유한 가계가 월소득 25%를 원리금 상환에 쓴다고 가정하면, 구입할 수 있는 주택가격 수준이 2억9000만원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보유한 금융자산을 모두 사용하고 2억원을 빌려 매년 소득의 25%인 110만원을 원리금으로 상환할 경우를 가정해 계산하면, 2억9000만원짜리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올 하반기 서울 아파트 평균가격은 약 5억원이라 서울 시내에서 아파트 구매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전국 기준으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억7000만원이므로, 평균 수준의 자산을 보유한 가계는 전국 평균 가격대 아파트를 구입할 능력이 있다고 강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전국 기준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이 2억7000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평균소득 가계는 아파트를 구입할 능력은 되는 셈"이라며 "그러나 아파트 평균가격이 약 5억원인 서울지역은 전국 평균 가구소득 기준으로 주택구입능력지수가 57.9%에 불과해 소득대비 주택가격이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화제의 뉴스

"여기 동탄 아닌가요?" 한국 똑 닮은 신도시, 사막의 놀라운 변신
6·27 대출규제 극찬한 하락론자 "풍선효과 전세대란 없다" 단언
"병원 소음 공해 못살아!" 43년차 대학병원에 민원 현수막 건 아파트
[단독] 50억 반포 신축 아파트, 전세금 17억→11억으로 급락
"제2 김현미가 집값 때려잡는다?" 이재명과 문재인의 놀라운 평행이론

오늘의 땅집GO

[단독] 50억 반포 신축, 전세금 17억→11억으로 급락
"제2 김현미가 집값 때려잡는다?" 이재명과 문재인의 평행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