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용산쇼크' 다른 대형사업에도 악영향… 위축된 부동산 시장에 또 타격 가능성

뉴스 이위재 기자
입력 2013.03.14 03:16

용산지역 공인중개사들 "주민들 혼란스러운 상황"
일부선 "그동안 워낙 안 좋아 부동산에 큰 충격은 없을듯"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부도는 가뜩이나 위축된 부동산 시장에 또 한 차례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내건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동안 (부동산)시장이 워낙 안 좋아 큰 충격은 없겠지만 아무래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면서 "비슷한 다른 민간 개발사업도 자금 동원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장은 사업 대상이었던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이촌2동 일부) 대림·성원아파트 등 2298가구가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이촌2동 제일공인중개사무소는 "지금 팔면 얼마나 받을 수 있느냐는 문의가 몇 통 왔었다"며 "주민 대부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사업이 다시 재개되는 건지, 완전히 무산되는 건지 기대 반 걱정 반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전했다.

용산개발사업 부도 소식이 전해진 13일 오후, 사업 대상 지역인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 부근의 공인중개사 사무실은 한산했다. /이명원 기자
용산개발사업 부도 소식이 전해진 13일 오후, 사업 대상 지역인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 부근의 공인중개사 사무실은 한산했다. /이명원 기자

서부이촌동뿐 아니라 인근 지역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용산구는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점쳐지면서 2006년 한 해에만 아파트 값이 28.19%, 2007년 6.59% 오르는 등 그동안 급등세를 보인 바 있다. 한강로 114㎡(3.3㎡가 1평) 아파트가 3.3㎡(1평)당 4000만원이 넘는 14억5000만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사업이 지지부진하면서 실망감이 누적돼 30%가량 집값이 내렸다. KB국민은행 조사로는 올해 들어 용산구 집값은 0.9% 하락, 서울 평균(-0.6%)보다 컸다. 여기에 용산 사업 부도까지 겹쳐 앞으로 추가 하락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이번 '용산 쇼크'가 빨리 가라앉지 않으면 부동산 시장 전반에 악재(惡材)로 작용하면서 침체가 더 길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용산도 저렇게 안 되는데 다른 데는 오죽하겠느냐는 심리적 악영향이 문제다"면서 "상암DMC·뚝섬·인천 송도 등까지 파문이 미치지 않도록 시장 안정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투자증권 김규정 부동산팀장은 "3월 중 정부가 내놓을 종합 부동산 대책은 주거 복지뿐 아니라 양도세·취등록세·금융 규제 완화 등 거래를 활성화하는 조치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제의 뉴스

압구정2구역 현대건설 단독 입찰…수의계약 첫 단계 진입
"반년후 2.4억 번다" 7호선 역세권 80평 상가, 감정가 반값에 경매
'6천만원 김건희 목걸이' 건설사, '비리 백화점' 지주택 10조 수주
삼성물산, 개포우성7차에 'AI 기술 집약' 스마트 지하주차장 조성한다
'서초 맞은편' 과천 주암 '10억 로또' 청약 뜬다…청약일 언제

오늘의 땅집GO

"반년후 2.4억 번다" 7호선 역세권 80평 상가, 감정가 반값에 경매
6천만원 김건희 목걸이 의혹 '서희건설'…지주택 누적 10조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