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땅집고

경매 넘어간 수도권 서민주택(연립·다세대주택) 1년 새 50% 급증

뉴스 유하룡 기자
입력 2012.08.07 03:15

부동산 침체 서민에 직격탄… 매각률도 30%밖에 안 돼

올 상반기 빚을 갚지 못해 법원 경매로 넘어간 수도권 주택이 지난해보다 2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민 주택으로 꼽히는 연립·다세대주택은 작년보다 50% 이상 급증해 부동산 경기 침체로 서민층이 더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허윤경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된 '건설 동향 브리핑'을 통해 대법원 경매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수도권에서 경매로 나온 주택이 2만5677건으로 지난해 동기(3만1737건)보다 23.6%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68.4% 늘었다. 같은 기간 서울(21.8%), 경기(12.2%)와 비교하면 증가율이 3~5배 이상 높았다. 용도별로는 연립·다세대주택(54.7%), 단독·다가구주택(48%) 등 서민층이 주로 거주하는 주택에서 경매 물건이 대폭 늘었다. 아파트는 작년보다 5.9% 증가하는 데 그쳤다. 허 연구위원은 "연립·다세대주택의 경우 서민들이 집을 담보로 생활자금을 빌려 쓰는 경우가 많다"면서 "집값 하락과 거래 침체로 한계 상황을 맞는 서민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2~3년 전 뉴타운 투자 열기를 타고 은행 빚을 내 연립·다세대와 단독주택을 2~3채씩 매입했던 투자자들이 사업 중단과 가격 하락으로 대출금을 갚지 못해 경매에 나오는 물건도 급증하는 모습이다.

문제는 경매에 나오는 주택은 늘고 있지만 팔리는 물건은 줄고 낙찰가격도 떨어지고 있다는 것. 올 상반기 경매에 나온 수도권 주택 중 낙찰된 물건은 10건 중 3건(매각률 30.2%)꼴로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금융 위기 이전인 2008년 40%를 넘었던 아파트도 올해는 35%까지 떨어졌다. 감정가격 대비 낙찰가격 비율인 매각가율도 평균 74.2%로 2009년(84.8%)과 비교하면 3년 만에 10%포인트 이상 낮아졌다.
 

화제의 뉴스

동부건설, '725억 규모' SK하이닉스 청주4캠퍼스 공사 수주
"집 보러 가서 이것만은 제발…" 10대 임장 꼴불견
"치맥 열풍 미국에도?" 캘리포니아에서 처음 열린다는 '이 축제'
희림건축, 사우디 산하 '뉴 무라바'와 MOU 체결
금호건설, '6000억 규모 3기신도시' 왕숙지구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오늘의 땅집GO

"집 보러 가서 이것만은 제발…" 10대 임장 꼴불견
"산사태 난 곳에 또 골프장을?" 강남구청, 대모산에 골프장 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