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재건축 절반을 소형주택으로?" 서울시에 뿔난 강남 조합원들

뉴스 이석우 기자
입력 2012.02.16 03:40

서울시가 재건축 주택의 소형 의무비율을 올리겠다는 방침을 밝힌 이후 서울 강남구 개포지구 주공·시영 아파트 7개 단지 조합들이 15일 긴급 대책회의를 갖는 등 본격적인 대응에 들어갔다. 소형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개포주공 아파트단지 일대 조합 대표들은 이날 회의에서 일반 조합원들의 수요 조사를 묻는 실태 조사를 하고 서울시 항의 방문 시위 방안 등에 논의했다.

서울시는 재건축 때 기존 소형 가구(60㎡, 18.1평)의 절반을 소형 주택으로 짓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300가구 규모의 재건축 아파트단지에 소형 주택이 100가구 있다면 재건축 때 50가구를 소형 주택으로 건립하겠다는 의미다.

소형 주택이 많은 개포 2~4단지의 경우 7370가구 중 93%가 60㎡ 이하의 소형 주택이어서 서울시 방침대로 하면 재건축 때 전체 가구 수의 절반가량을 소형으로 지어야 한다. 그러나 조합원들은 대부분 재건축 이후 85㎡(25.7평) 규모 정도의 집에 들어가 살기 원하고 있다. 서울시 방침대로 하면 상당수 조합원이 본인 의사와는 관계없이 소형 아파트를 배정받게 된다.

개포주공 2단지 조합원 윤모(47)씨는 "가족 4명이 15평(50㎡)짜리 집에 들어가 살라는 건데 이게 말이 되느냐"며 "시장 한 명 바뀌었다고 재건축 아파트를 가진 시민 수십만명의 운명까지 뒤바뀌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서울시 방침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매매 호가는 큰 변동이 없다. 개포주공 W공인 관계자는 "서울시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어서 조합원 사이에는 '지켜보자' 분위기가 강하다"며 "매도 호가가 1000만원가량 떨어진 매물이 1~2건 나오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부동산팀장은 "서울시의 정책이 서민 주거 복지 측면에서는 이상적으로 보이겠지만 기존 주택시장의 질서를 과도하게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화제의 뉴스

빨간펜 학습지회사가 '110조' 일본 실버타운 1위로 우뚝 선 이유
4분기 적자전환 HL디앤아이한라, 당기순이익 30% 뚝
'60억 세금추징' 이하늬 유령회사 의혹…자본금 1000만원→64억 건물 매입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작전주 의혹 '삼부토건' 법정관리 신청…부채비율 800%
한은, 기준금리 2.75%로 인하…올해 성장률도 1.5%로 낮춰

오늘의 땅집GO

빨간펜 학습지회사가 '110조' 일본 실버타운 1위로 우뚝 선 이유
"집주인인 줄 알았는데…당근마켓 부동산 사기로 1400만원 뜯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