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이 폭락했다고 아우성이지만, 정부가 공식통계로 사용하는 아파트 가격 통계 자료에서는 집값이 거의 하락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공식통계로 사용하는 '국민은행'의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률' 자료에 따르면 현재(7월 12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올해 초(1월 4일)에 비해 1.3%만 하락했다. 전국을 기준으로 하면 오히려 0.9% 가격이 상승했다. 이 지표에 따르면 강남구 아파트 가격은 1%, 송파구는 0.8%만 하락했다. 서울에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도봉구)도 3.1% 하락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실제 거래가격은 전혀 딴판이다. 서울 노원구 중계동의 주공2단지 아파트(45㎡·13.6평)의 가격은 1월 1억7500만원 안팎에 거래되다가 6월에는 15%나 떨어진 1억4800만원에 거래됐다.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1단지(51㎡·15.4평)의 가격도 1월 10억9800만원에서 6월에는 18%나 내린 9억원에 거래됐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의 우남퍼스트빌 아파트(60㎡·18.1평)는 올해 초 2억8500만원에 거래되다 6월에는 3000만원가량(2억5500만원) 가격이 떨어졌다.
부동산중개업소에서 올려놓는 부동산 호가는 좀 더 황당하다. A업체의 부동산 매물정보 사이트에는 개포주공 1단지의 51㎡ 아파트의 호가가 최저 12억~13억5000만원으로 돼 있다.
실제 거래가격과 3억원가량 차이가 나는 셈이다. 똑같은 물건의 값이 통계, 실제 거래 가격, 중개업소의 호가가 완전히 제각각인 셈이다.
이처럼 국민은행 통계가 실거래 가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는 통계 산출 방식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주택 가격 하락기에는 주변 시세보다 확실하게 값을 내린 '급매물' 위주로 거래된다. 그러나 국민은행의 통계는 중개업소에서 알려주는 대략적인 가격 수준에 의존해 작성한다. 실제 급매물이 거래됐다고 하더라도 중개업소에서 '정상적인 가격이 아니다'고 판단하면 이 가격이 통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현재로선 우리 정부가 주택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주택 가격 통계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집값이 얼마나 올랐는지, 내렸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