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주택 3차 지구(12만1300가구)가 지난달 31일 발표됐습니다. 기존 1·2차 지구(11만2000가구)를 모두 합한 것보다 더 큰 규모입니다. 이 중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곳이 광명·시흥지구입니다. 광명·시흥지구는 보금자리주택 건설이 끝나면 총 9만5000가구, 3인 가족 기준이라면 30만명이 살 수 있습니다. 분당신도시의 계획가구가 9만7500가구인 점과 비교하면 말 그대로 신도시급 보금자리주택지구인 셈입니다.
게다가 광명·시흥지구는 인근의 서울 항동(4500가구)과 2차 보금자리 부천 옥길(8000가구), 시흥 은계(1만2000가구)를 포함하면 이 일대에 12만 가구가 공급됩니다. 기존의 시흥 목감·장현 지구의 2만7000여 가구가 공급되면 이 지역은 15만 가구나 공급됩니다.
현 정부는 출범 초기 "신도시 건설은 수도권 인구집중 방지 효과도 없고 집값 안정효과도 없다"며 "도심 재개발 등을 통한 주택공급에 나서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수요가 있는 곳에 집을 공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집권 2년이 지나면서 보금자리라는 명칭을 단 사실상의 신도시가 잇달아 등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싼 값에 집을 구할 수 있어 수요자들은 환영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낮은 곳에 한꺼번에 너무 많은 물량이 공급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미 지난해 시범지구 사전예약에서 서울 강남·서초지구를 제외하고 하남 미사·고양 원흥 지구 일부 아파트는 미달이 됐습니다. 이미 부동산 시장에서는 광명·시흥지역과 하남지역의 대규모 보금자리주택 미분양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건설업계도 울상입니다. 특히 2기 신도시와 수도권 택지지구 분양을 받아 사업을 진행하려던 업체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