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새 '관리처분인가' 4곳 받아
서울 강북지역의 뉴타운·재개발구역이 잇달아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으면서 이로 인한 전세난이 우려되고 있다. 관리처분계획인가가 나고 이주가 시작되면 해당 지역 주민들은, 기존 집을 허물고 새 아파트를 짓는 공사가 끝날 때까지 거주할 곳을 구해 이사를 해야 한다.
21일 서울시와 강북지역 중개업소에 따르면 지난 5월 이후 두 달 사이 가재울뉴타운 3, 4구역, 아현 3구역, 전농 7구역 등 4곳이 관리처분인가를 받았다. 이들 지역의 가구 수는 세입자를 포함해 약 2만 가구. 이런 대규모 이주 수요가 발생하면 전셋값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5월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동대문구 전농 7구역 인근 연립주택 전셋값은 두 달 사이 유형별로 1000만~2000만원씩 올랐다. 인근 아파트 값도 106㎡ 기준으로, 올 초에 비해 2000만~3000만원 오름세다. 이런 상황은 가재울뉴타운 등 다른 관리처분인가 지역 인근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별다른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입주 물량만 놓고 보면 최근 강남지역에서 급격히 늘곤 있지만, 뉴타운·재개발 예정 지역과는 워낙 전셋값 차이가 많이 나고 있다. 뉴타운 예정 지역의 경우 전세금이 5000만원 정도인 곳도 적지 않은 상태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올해 초에도 강북 지역 뉴타운·재개발에 따른 이주 수요 촉발로 이 일대 집값이 폭등한 적이 있다"며 "순차적인 사업 추진 유도와 전세 물량 부족 해소 방안 마련 등을 통해 집값 안정과 영세민 보호를 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