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오피스텔·상업용건물 기준시가 크게 오른다

뉴스 박용근기자
입력 2006.12.28 21:45

수도권·광역시 대상… 내달 1일부터 각각 6.5%·7.3%↑

내년 1월 1일부터 수도권과 5대 광역시의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상가)의 기준시가가 올해보다 각각 6.5%, 7.3% 올라 세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기준시가는 부동산을 팔거나 상속·증여할 때 세금(양도세, 상속·증여세)을 매기는 기준 가격이다.
국세청은 28일 “서울과 경기도, 인천·대전·대구·광주·부산·울산 지역 내 오피스텔 28만7343호와 상업용 건물 34만8601호 등 모두 63만5944호의 기준시가를 29일부터 국세청 홈페이지(www.nts.go.kr)에 고시한다”고 밝혔다.
국세청은 “상가나 오피스텔을 팔거나 상속·증여할 때 원칙적으로 실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이 매겨지지만 취득 당시 거래가격을 확인할 수가 없는 경우가 많아 기준시가를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상업용 건물의 상승률을 보면 서울 10.0%, 경기 5.8%, 인천 8.5%, 대전 6.2%, 대구 6.4%, 부산 6.5%, 울산 4.6% 등이 오른 반면 광주는 7.9% 하락했다.
오피스텔 기준시가 상승률은 서울 7.5%, 경기 5.7%, 인천 6.4%, 대전 7.3%, 대구 6.2%, 부산 5.1%, 울산 4.5% 등이며, 역시 광주는 2.7% 떨어졌다.
건물의 평균 기준시가가 제일 비싼 곳은 상업용 건물의 경우 서울 중구 신당동 신평화패션타운(㎡당 1322만9000원)이고, 오피스텔은 경기 성남시 분당 정자동의 타임브릿지(529만9000원)였다.
전국적으로 기준시가가 오른 이유는 부동산값이 오른 데다 기준시가의 시세(時勢) 반영률이 종전 70%에서 75%로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국세청은 설명했다.
기준시가 고시 대상은 작년보다 상업용 건물이 4만3309호, 오피스텔은 3만2783호 등 총 7만6092호 늘었으며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전체 고시 대상의 84%인 53만6941호가 집중됐다.

화제의 뉴스

19년만에 날아오르는 거여·마천뉴타운…1.6만가구 정비계획 완료
"두달도 안돼 2조 수주"…독하게 맘먹은 삼성의 재건축·재개발 질주
수도권 내집마련·전세살이, 더 팍팍해진다…주택기금 금리 인상
"공실지옥 되느니 떨이로 팔자"…'상가 전멸' 광명 신축 아파트 근황
토허제 풀자 30억·40억 돌파…잠실 '엘·리·트' 국평 30억 눈앞

오늘의 땅집GO

"차라리 떨이로 팔자"...'상가 전멸' 광명 신축 아파트 근황
토허제 풀자 30억·40억 돌파…잠실 '엘·리·트' 국평 30억 눈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