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집고

[아파트등급 표시제] 유해물질 방출량 따라 등급지정

뉴스
입력 2004.04.26 17:37 수정 2004.04.26 17:37

기준 못맞추면 건물 사용검사 불허

건교부는 소음·자재·구조 등 아파트 부문별로 등급을 표시하는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를 내년 하반기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일문일답식으로 자세히 알아본다.

◆외국에도 이런 제도가 실시되고 있는가?

=일본의 경우, 품질확보 촉진법을 통해 주택의 구조안전성·화재 안전성·공기환경·소음·입주자 편의시설 등 9개 부문에 거쳐 1~4등급으로 표시하는 제도가 도입돼 있다.영국은 건축법을 통해 주택의 에너지 등급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등급기준은 어떻게 만드나?

=건설기술연구원 등 전문기관이 외국 사례 등을 참조, 소음·자재·환경 등에 관한 등급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건설업체들은 아파트를 분양할때 어느 정도 등급기준에 맞는 아파트를 짓겠다는 등급을 분양공고에 표시해야 한다.

◆만일 건물완공후 등급기준을 맞추지 못한면 어떻게 되나?

=해당 지자체나 전문기관이 사용검사를 통해 등급기준에 맞는지 여부를 조사해서 인증을 해준다. 만일 건설업체가 처음에 제시했던 등급기준을 맞추지 못하면 사용검사가 나지 않고 건설업체는 보완공사를 해야 한다.

◆조경·자재의 등급표시는 어떤 식으로 하나?

=조경의 경우, 녹지비율에 따라 등급이 부여될 전망이다. 마감재의 경우,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의 방출량에 따라 등급이 표시될 것이다.

◆주택성능 등급표시제로 가격이 오르는 것은 아닌가?

=성능이 떨어지는 아파트를 공급하는 업체들은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건설업체들은 치열한 제품개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시공비의 인상도 예상되지만 업체들은 기술개발경쟁을 통해 원가 상승요인을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업체은 이에 대비하고 있는가?

=삼성물산건설부문은 소음·환기 등 10개 부문에 대한 기준을 마련, 올해 하반기부터 주택성능 등급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삼성측은 ‘매우 우수’ ‘우수’ ‘양호’ ‘기본 법규에 맞는 성능’ ‘일반적인 성능’ 등 5개 등급으로 나눠 등급을 표시할 방침이다.

(차학봉기자)

화제의 뉴스

19년만에 날아오르는 거여·마천뉴타운…1.6만가구 정비계획 완료
"두달도 안돼 2조 수주"…독하게 맘먹은 삼성의 재건축·재개발 질주
수도권 내집마련·전세살이, 더 팍팍해진다…주택기금 금리 인상
"공실지옥 되느니 떨이로 팔자"…'상가 전멸' 광명 신축 아파트 근황
토허제 풀자 30억·40억 돌파…잠실 '엘·리·트' 국평 30억 눈앞

오늘의 땅집GO

"차라리 떨이로 팔자"...'상가 전멸' 광명 신축 아파트 근황
토허제 풀자 30억·40억 돌파…잠실 '엘·리·트' 국평 30억 눈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