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일부 재건축만 올라 ‘반짝강세’인듯"
용산·분당등 인기지역은 매수세 살아나
수도권 입주물량 많아 추가상승 어려워
강남권 일부 재건축 아파트와 수도권 일부 인기지역에서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있다. 반포·개포 등 강남권 저층 아파트단지는 재건축 추진이 활발해지면서 한 달 새 최고 5000만원이나 올랐다.
분당·일산·의왕·과천 등도 주택거래신고제 시행 전에 집을 장만하려는 실수요자들이 늘어나면서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올해 입주물량이 많고, 경기 전망도 불투명해 집값 상승세가 확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강남 아파트값 바닥 찍었나=강남권은 지난 1월 설연휴가 끝나면서 싼 매물들이 속속 팔려 나가면서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특히, 반포·개포 등 저층 재건축 단지들은 각종 호재가 잇따르고, 이사철 수요까지 늘어나 큰 폭의 오름세를 타고 있다.
서초구 반포지구는 지난달 하순 이명박 서울시장의 ‘재건축 가구수 10% 증대’ 발언 이후, 한 달여 만에 4000만~5000만원씩 가격이 뛰었다. 5억7000만~5억8000만원이던 2단지 18평이 최근 6억1000만원까지 올랐다.
반포동 ‘건설공인중개사’ 김석중 사장은 “10·29조치 이후 낙폭이 워낙 컸던 데다, 재건축 사업성이 다시 좋아질 것이란 기대감도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송파구 잠실지구도 지난달 주공1단지가 사실상 사업 승인을 받으면서, 평균 1000만~2000만원씩 올랐다. 강남구 개포지구도 지난 1월 말 주공 2~4단지, 시영 등의 안전진단 통과 가능성이 크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3000만~4000만원씩 오른 곳이 많다.
대치동 은마도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1월 초부터 매달 1000만~2000만원씩 상승하고 있다. ‘대치공인중개사’ 이재권 사장은 “실수요자들이 주택거래 신고제가 시작되기 전에 서둘러 주택 마련에 나서면서 가격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지난해 10·29대책 여파로 가수요자가 거의 사라졌기 때문에 추가 상승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非)강남권, 재료 있는 단지만 선별상승=재건축 단지를 제외한 일반 아파트는 가격이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신학기를 앞둔 봄 이사철 매매수요가 이달 들어 마무리되면서 거래량이 감소하는 추세다.
상대적으로 호재(好材)가 많은 서울 용산, 분당, 과천, 의왕 등은 주택거래신고제 시행을 앞두고 매수세가 일부 살아 나고 있다. 용산에서는 이촌동·서빙고동 등 한강변 아파트단지들이 지난달 말 이후 평균 1000만~3000만원쯤 올랐다.
분당도 정자동 상록마을, 미금역 주변 청솔마을 등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싼 매물이 소진되면서 호가(呼價)가 1000만원 안팎 올랐다. ‘림방공인중개사’ 박왕희 사장은 “호가와 거래 가능 금액 사이에 격차가 커서 전반적인 거래량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악재·호재 뒤섞여 보합세 지속될 듯=하지만 수도권 대부분 지역은 거래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집값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 시세조사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2월 초 이후 수도권 아파트의 주간 매매가 상승률은 0.03~0.08%대로 제자리걸음 수준에 그치고 있다.
‘부동산114’ 김혜현 팀장은 “수도권은 입주물량이 워낙 많아 향후 가격상승은 재료있는 지역에만 제한적이고 단기적인 현상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부동산뱅크’ 양해근 실장도 “모기지제 도입, 주택거래신고제 등 호재와 악재가 겹치고 있어 당분간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가격도 보합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