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임대차법 전 실거주 목적 집 샀다면 계약갱신 거절 가능"

    입력 : 2021.05.19 14:56 | 수정 : 2021.05.20 00:03


    [땅집고] 주택을 매수하고 소유권을 넘겨받기 전, 세입자가 기존 집주인에게 계약갱신청구권을 청구했다면 원칙적으로 실거주 목적으로도 세입자를 내보낼 수 없다. 하지만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 전 실거주 목적으로 임차인이 있는 아파트를 구매한 경우라면 이 같은 상황에서도 임대차 갱신을 거절할 수 있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땅집고]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방법. /전현희 기자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40단독 문경훈 판사는 최근 서울 강남구 일원동 아파트 소유권자인 A씨 부부가 임차인 B씨 가족을 상대로 낸 건물 인도 소송에서 “임대차 계약 종료일에 5000만원을 받고 아파트를 넘기라”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A씨 부부는 임대차보호법이 시행되기 약 3주 전인 지난해 7월 5일에 실거주 목적으로 B씨가 임차인이 있는 아파트 매수 계약을 하고 같은 해 10월 30일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쳤다. B씨의 임대차 계약은 올해 4월 14일이 만료 예정일이었다.

    B씨 측은 A씨가 소유권을 넘겨받기 직전인 작년 10월 5일 기존 집 주인에게 임대차 계약 기간 연장을 요구했다. A씨는 집 소유권을 넘겨받은 뒤에도 B씨가 임대차 계약 갱신을 요구하자 “이전 집 주인이 계약 갱신을 거절해 B씨와 임대차를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라고 봐야 한다”며 법원에 건물 인도 소송을 냈다.

    문 판사는 “원고들이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 전 실거주 목적으로 아파트 매매계약을 맺었다”며 “원고들로서는 계약 당시 임대차 계약 기간이 끝나면 당연히 자신들이 실제 거주할 수 있다고 믿었을 것”이라며 A씨 손을 들어줬다. 그러면서 “매매계약 당시 도입될지 알 수 없던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이 실행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없다면 이는 형평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법원 관계자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 전에 매매계약을 맺고 계약금까지 지급한 경우에는 임대차 계약 갱신 요구를 거절할 정당한 사유가 있다는 취지의 판결"이라며 "국토교통부가 같은 취지의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지만, 판결로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B씨 부부는 판결에 불복해 항소하고 현금을 공탁하는 조건으로 항소심 판결이 나올 때까지 집행 정지 결정을 받은 상태다. 항소심은 같은 법원 민사항소3-3부(주채광 석준협 권양희 부장판사)가 심리한다./김리영 땅집고 기자 rykimhp206@chosun.com

    ▶ 그래서 세금이 도대체 얼마야? 2021년 전국 모든 아파트 재산세·종부세 땅집고 앱에서 공개. ☞클릭! 땅집고앱에서 우리집 세금 확인하기!!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