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코로나 여파에…전국 상가 공실률 치솟고 임대료 낮아졌다

    입력 : 2021.01.27 15:23

    [땅집고] 서울의 한 지하철역 상가가 전부 폐업한 모습. /이지은 기자

    [땅집고]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전국 상가 공실률이 치솟는 동시에 임대료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대표 상권으로 꼽히는 이태원·명동·광화문 등에선 점포 4~5곳 중 1곳이 비어있을 정도로 타격이 컸다.

    한국부동산원은 전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지난해 1분기 11.7%에서 4분기에는 12.7%로, 소규모 상가는 5.6%에서 7.1%로 각각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코로나19 가 확산하면서 강도 높은 방역지침을 시행하는 바람에 상가 공실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서울 대형 상권들 공실률이 심각한 수준으로 꼽힌다. 지난해 5월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한 이태원 상권은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26.7%에 달한다. 또 외국인 관광객 급감 영향을 받은 명동이 22.3%, 대기업 오피스가 몰려있는 광화문이 15.3%로 높았다. 지방에선 경북과 세종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각각 19.0%, 18.6%로 전국 평균(12.7%)을 크게 웃돌았다. 이어 충북·전북(17.0%), 대구(16.8%), 울산(15.6%) 등 공실률도 높은 편으로 조사됐다.

    상가 공실률이 늘면서 임대료도 동반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4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임대료는 전년 4분기 대비 2.63% 하락, ㎡당 2만6300원이었다. 같은 기간 소규모 상가 임대료는 ㎡당 1만9600원, 집합상가는 2만7600원으로 전년도 말 대비 각각 2.71%, 2.27% 떨어졌다.

    권리금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9월 30일 기준 전국 16개 시·도의 평균 상가 권리금은 4074만원으로 전년(4276만원) 대비 4.7% 하락했다. 서울에선 권리금이 형성된 상가 비율이 2019년 61.2%에서 지난해 46.7%로 14.5%포인트 급감했다. 같은 기간 대구(58.4%)와 인천(66.2%)도 12.5%포인트, 12.6%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오피스 빌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다. 지난해 4분기 전국 평균 공실률이 11.0%였는데, 1분기 대비 0.1%포인트 감소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코로나에 대비해 업무 공간을 분산하기 위한 공유오피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오피스빌딩 공실률이 소폭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평균 8.6%로 지난해 초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임대료는 전 분기 대비 0.29% 낮아졌다. 여의도 파크원 등 신축 대형 오피스가 공급하면서 기존 오피스 임대인들이 임차인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대료를 내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상가·오피스 등 상업용 부동산의 연간 투자수익률은 4~6%대로 채권 등 다른 투자상품들과 비교하면 높았다. 하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1~2%포인트가량 낮은 수치다. /장귀용 땅집고 기자 jim332@chosun.com

    ▶올해부터 세금 폭탄. 전국 모든 아파트 5년치 보유세 공개. ☞땅집고 앱에서 확인하기!!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