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0.10.16 12:10 | 수정 : 2020.10.16 14:08
[땅집고] 서울 비(非) 강남의 아파트가 들어선 토지의 가격이 평균 3.3㎥ 당 5995만원에 달한다는 시민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 30년 내에 서울 비 강남 주요 아파트 땅값은 문재인 정부 들어 가장 많이 상승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6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은 1990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1월 시세 기준으로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를 제외한 22개구 17개 아파트 단지 3만여 가구를 조사했다. KB국민은행 등 부동산 시세 정보를 비롯해 정부가 발표한 공시지가와 공시가격을 활용해 아파트값에서 건축비를 빼고 용적률을 고려한 땅값 시세를 산출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비 강남 주요 아파트 땅값은 1990년 3.3㎡(1평)당 687만원에서 2020년 5995만원으로 30년 동안 8.7배 상승했다. 이 중 문재인 정부 3년 동안 3706만원에서 5995만원으로 2289만원(62%) 올라 상승액이 가장 컸다.
반면 이 기간에 비 강남 아파트 공시가격은 평당 1577만원에서 2088만원으로 511만원(32%) 오르는 데 그쳤다. 시세반영률은 35%로 박근혜 정부(43%)와 비교해 8%포인트 하락했다. 이처럼 가파른 땅값 상승을 공시지가가 따라가지 못해 문재인 정부 들어 시세 반영률은 이전 정부보다 떨어졌다고 경실련은 지적했다.
개별 단지를 보면 길음 래미안 1단지·성수 롯데캐슬파크·공덕 래미안 2단지는 시세 반영률이 25%로 가장 낮았고, 흑석 한강·남가좌 현대 등 8개 단지는 30%대로 부지마다 제각각이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시세 반영률 수준(65.5%)을 충족한 경우는 광장동 워커힐(69%) 1개 단지에 불과했다. 경실련은 "2020년 비강남 주요 단지별 시세 반영률은 평균 35%이며 가장 낮게는 25% 수준도 있다"면서 "이는 정부가 발표한 시세 반영률의 절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시지가가 낮아지면 소수 부동산 부자들만 특혜를 누린다"면서 "공평과세를 실현하려면 공시지가를 2배 이상 올려 시세 반영률을 80%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hsangh@chosun.com
이 분석에 따르면 비 강남 주요 아파트 땅값은 1990년 3.3㎡(1평)당 687만원에서 2020년 5995만원으로 30년 동안 8.7배 상승했다. 이 중 문재인 정부 3년 동안 3706만원에서 5995만원으로 2289만원(62%) 올라 상승액이 가장 컸다.
반면 이 기간에 비 강남 아파트 공시가격은 평당 1577만원에서 2088만원으로 511만원(32%) 오르는 데 그쳤다. 시세반영률은 35%로 박근혜 정부(43%)와 비교해 8%포인트 하락했다. 이처럼 가파른 땅값 상승을 공시지가가 따라가지 못해 문재인 정부 들어 시세 반영률은 이전 정부보다 떨어졌다고 경실련은 지적했다.
개별 단지를 보면 길음 래미안 1단지·성수 롯데캐슬파크·공덕 래미안 2단지는 시세 반영률이 25%로 가장 낮았고, 흑석 한강·남가좌 현대 등 8개 단지는 30%대로 부지마다 제각각이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시세 반영률 수준(65.5%)을 충족한 경우는 광장동 워커힐(69%) 1개 단지에 불과했다. 경실련은 "2020년 비강남 주요 단지별 시세 반영률은 평균 35%이며 가장 낮게는 25% 수준도 있다"면서 "이는 정부가 발표한 시세 반영률의 절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시지가가 낮아지면 소수 부동산 부자들만 특혜를 누린다"면서 "공평과세를 실현하려면 공시지가를 2배 이상 올려 시세 반영률을 80%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hsang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