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코로나로 집을 못 보니…" 매매도 전세도 거래 뚝

    입력 : 2020.09.01 10:14 | 수정 : 2020.09.01 11:49

    [땅집고]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매매·전세 시장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위축하고 있다.
    [땅집고] 서울 노원구 일대 아파트 단지들./조선DB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권 아파트 시장은 일부 고가 매물만 나와 있어 거래가 뜸해진데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중개업소를 찾는 고객도 뚝 끊긴 상태다.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또 코로나 때문에 난리다. 지난 2월~3월과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며 “요즘 관망세가 짙어졌는데 코로나 영향으로 이런 분위기가 더 강해지는 것 같다”라고 했다.

    마포·용산·성동구 등 비교적 거래와 문의가 활발했던 이른바 ‘마용성’ 지역도 상황이 바뀌었다. 코로나19 때문에 집을 보여주기를 꺼리는 집주인과 세입자가 늘어났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지난 주말 마포래미안푸르지오 매물을 보러 가려고 집주인에게 전화했더니, 젊은 부부가 집에 아이가 있다며 다음에 왔으면 좋겠다고 해 발길을 돌렸다”며 “요즘 분위기가 워낙 그래서 차마 계속 집을 보자고는 못 하겠더라”고 했다.

    반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지역은 9억원 이하 아파트를 찾는 30대, 신혼부부 등이 여전히 몰리며 코로나 여파에도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정보에 따르면 노원구 공릉동 효성화운트빌 99.92㎡(전용면적)는 지난달 25일 8억7500만원(8층)에 신고가로 매매가 이뤄졌다. 관악구 봉천동 관악푸르지오 59.58㎡ 역시 지난달 17일 7억9500만원(15층)에 신고가로 매매 계약서를 써 한 달 전과 비교해 1억원 넘게 올랐다. 하지만 코로나 재확산 우려에 대한 분위기는 비슷하다. 노원구 상계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인터넷 불로그 등에 올라온 정보를 참고하고, 젊은 사람들은 휴대폰 동영상으로 집 구조를 찍어 보내줘 이걸 보며 상담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한편 품귀를 빚고 있는 전세 시장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거래가 더 어려워지는 분위기다. 송파구 가락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새 임대차 법 시행 등의 영향으로 전세가 정말 귀해졌는데, 코로나 우려로 집주인이 집을 내놓아도 세입자가 집 보여주기를 거부해 거래가 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최윤정 땅집고 기자 choiyj90@chosun.com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