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서울 아파트값, 문재인정부 들어 52% 상승? 잘못됐다" 국토부 반박

    입력 : 2020.06.24 11:50 | 수정 : 2020.06.24 18:31

    [땅집고] 정부가 24일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서울 아파트가격이 50%가 넘게 급등했다는 시민단체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비교에 적합치 않은 중위값을 사용해 실상과 달리 과도한 집값 상승을 나타낼 수 있다는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KB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52% 상승했다는 통계가 제시됐으나, 이는 시장 상황을 과잉 해석할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경실련은 전날 “KB주택가격동향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권에서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이 한 채당 3억1400만원(52%)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3% 하락한 이명박 정부와 29% 오른 박근혜 정부와 비교했을 때 큰 상승률이다”고 주장했다.
    [땅집고] 서울 아파트 전경. /조선DB

    국토부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사용한 KB주택가격동향 자료 대신 한국감정원 자료를 근거로 반박했다. 국토부는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저가 노후 아파트의 멸실이나 신축 고가 아파트의 신규 공급에 따라 상승하는 측면이 있어 시계열로 단순 비교하면 실제 상황보다 과도하게 집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부에서는 재건축 등에 따른 노후주택 멸실이 많으면서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도 예년 대비 많이 증가해 시계열 비교는 더욱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주장이다.

    국토부는 연평균 서울 아파트 멸실 물량은 2010~2012년에는 3000가구 수준이었으나 2013~2016년 7000가구로 늘었고 2017~2019년에는 1만6000가구로 더 증가했다고 밝혔다.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도 2008~2012년 3만4000가구에서 2013~2016년 3만2000가구로 줄었으나 2017~2019년엔 4만가구 수준으로 올랐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중위 매매가격은 거래된 아파트의 가격을 활용해 통계를 산출하기 때문에 최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어난 상황에서 시장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토부는 국가승인통계인 한국감정원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를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2017년 5월~2020년 5월) 들어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14.2%다. 아파트 외에 단독주택 등을 포함한 전체 주택의 상승률은 11.5%다.

    국토부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 부동산 시장 상황도 봐야 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정부별 주택가격 변동률은 시기별 경제상황과 주택 가격의 순환 사이클을 고려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해외 주요 국가가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2010년대 중반까지 주택가격이 하락했지만 이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높은 주택가격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시장 회복기에 전국 주택가격의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수요가 집중되는 서울·수도권에서는 국지적 과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박기홍 땅집고 기자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