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규제 몰아치기 전에 사고 팔자'…부동산 시장 들썩

    입력 : 2020.06.14 13:36 | 수정 : 2020.06.14 21:39


    [땅집고] 정부가 최근 집값 불안 조짐을 보이는 수도권 비규제지역에 대한 추가 규제 가능성을 시사함에 따라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땅집고]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 단지. /조선DB
    비 규제 지역에서는 대출이 막히고 세제 관련 규제가 강화되기 전 서둘러 집을 팔고 사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개발 호재가 있는 강남권이나 용산·목동과 중저가 주택이 몰려있는 구로·노원 등 비 강남권 지역의 매수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늘었다. 서울에서 아직 집값이 저렴하다고 꼽히는 지역이나 비규제지역 수도권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규제 피하자"…인천·군포·안산 등 거래·문의 활발

    1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인천·군포·안산 등 최근 아파트값이 상승한 수도권 비규제 지역 중개업소에는 주말 내내 거래와 문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들 지역은 최근 3개월간 주택 가격 상승률이 3.28∼9.44%에 달해 정부가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경우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일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꼽힌다.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송도가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일 수 있다는 말이 뉴스에 나오면서 주말에 찾는 손님이 많았고 매매도 많이 이뤄졌다"며 "규제지역으로 묶이면 대출이 줄어드니까 그 전에 대출을 받아 사려는 수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도동 ‘송도더샵하버뷰2’ 전용 114㎡는 4층이 10일 7억1500만원에 매매되고 이틀 뒤인 12일 같은 층이 7억6000만원에 거래되며 이틀 새 4500만원이 올랐다. 현재 호가는 7억5000만∼8억원이다.

    군포시는 최근 3개월간 주택 가격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다. 3개월 사이 아파트값이 9.44%나 올랐다. 역시 GTX C노선 발표와 일부 단지 리모델링 추진 등 호재 영향이다. 당정동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그동안 집값이 오르지 않은 군포에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가격을 올려놓았고, 실수요자들이 이걸 받쳐주면서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 서울 잠실·용산·목동 등도 '들썩'

    서울에서도 매수 심리가 살아나면서 그동안 붙지 않던 추격 매수세가 붙어 거래가 이뤄지는 분위기다. 서초구 반포동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급매물이 아니면 거들떠보지도 않던 분위기였는데, 급매들이 다 소진되고 나니 가격이 1억∼2억원 비싼 일반 물건만 남았고, 집값이 더 내려가지 않을 것 같다는 심리에 매수를 고민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정비창 부지에 8000가구 공급 계획이 있는 용산 지역과 재건축 추진에 속도가 붙은 목동이 있는 양천구도 들썩이고 있다.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는 6단지가 최근 1∼14단지 중 처음으로 재건축을 위한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인근 단지의 재건축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인근 중개업소 대표는 "6단지 안전진단 통과 소식 후 집주인들이 대부분 물건을 거둬들이는 분위기다. 5단지 전용 95㎡가 지난달 17억원에 거래됐는데 지금은 가격이 18억∼19억원으로 올라갔다. 6단지 94㎡도 2월 10억9000만원에 가장 비싸게 팔렸는데, 지금은 11억5000만원까지 부른다. 이마저도 발표 당일 집주인들이 일제히 물건을 거둬들여 물건이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중저가의 중소형 아파트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구로구 고척동 벽산베스트블루밍 아파트는 11일 전용 84㎡가 6억9500만원(10층)에 매매 계약돼 이 면적대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노원구 하계동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요즘 계속 매매가 활발하고, 문의와 방문 손님도 많다. 코로나19 때문에 정체됐던 물건들이 싹 없어진 상태다. 매수하려면 지난달보다 값을 더 줘야 살 수 있다"고 말했다.

    ■ 정부 '추가대책' 만지작…전문가 "뒷북 대책 우려…선제적 조치 필요"

    전문가들은 정부의 추가 대책이 조만간 나올 것으로 예상하면서 시중에 풀린 풍부한 유동성과 개발 호재가 변수라고 지적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시중에 유동성이 많이 공급된 상황에서 실물안전자산에 투자하려는 심리가 높아져 경기·인천·지방 몇몇 지역에 투기적인 거래가 포착되고 있다"며 "풍부한 유동성에 따른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한 정부 규제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안명숙 부동산투자지원센터장은 "12·16대책과 코로나 사태로 강남 집값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핀셋 규제가 오히려 규제가 없는 지역으로 풍선효과를 일으키는 면도 있었다고 본다"며 "대출 규제 강화는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정부가 주택공급이 적다는 시장의 우려를 충분히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