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0.04.28 10:05 | 수정 : 2020.04.28 10:40
[땅집고]국토교통부가 서울 용산구 용산공원 조성 과정에 국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고 약 400∼500명의 국민참여단을 꾸린다고 28일 밝혔다.
국민참여단은 용산공원의 비전을 실행하기 위한 4∼5개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선호도 투표를 통해 용산공원 조성을 위한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한다. 시나리오는 용산공원의 비전을 역사성과 민족성, 생태성, 문화성 등 분야별로 나누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10명 안팎의 용산공원조성추진 공론화위원은 국민참여단의 의견을 정리, 취합하는 역할을 한다.
정부는 '광화문1번가' 등 기존 소통 플랫폼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해 온라인 국민 참여방을 운영하면서 더 많은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용산공원은 1904년 일본이 군용지로 강제 수용했다가 해방 이후 미국에게 다시 넘어가 올해까지 116년째 주한미군 기지로 이용했다. 용산공원은 '생태와 역사가 살아 있는 공간'을 기본 컨셉트로 삼고 약 303만㎡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인위적 건물 신축은 최소화하면서 생태공원, 역사공원으로 만드는 방안이다.
국토부는 2012년 국제공모를 거쳐 2018년 11월 공원조성 실행계획안을 마련한 바 있는데, 이를 확정하기 위해 대국민 공론화를 추진하게 됐다. 공론화위원회는 국민참여단 등의 의견을 정리·취합해 연말에 용산공원 조성 실행계획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하고 정부는 공론화위원회 권고안을 바탕으로 내년 6월 용산공원 실행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전현희 땅집고 기자
정부는 '광화문1번가' 등 기존 소통 플랫폼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해 온라인 국민 참여방을 운영하면서 더 많은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용산공원은 1904년 일본이 군용지로 강제 수용했다가 해방 이후 미국에게 다시 넘어가 올해까지 116년째 주한미군 기지로 이용했다. 용산공원은 '생태와 역사가 살아 있는 공간'을 기본 컨셉트로 삼고 약 303만㎡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인위적 건물 신축은 최소화하면서 생태공원, 역사공원으로 만드는 방안이다.
국토부는 2012년 국제공모를 거쳐 2018년 11월 공원조성 실행계획안을 마련한 바 있는데, 이를 확정하기 위해 대국민 공론화를 추진하게 됐다. 공론화위원회는 국민참여단 등의 의견을 정리·취합해 연말에 용산공원 조성 실행계획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하고 정부는 공론화위원회 권고안을 바탕으로 내년 6월 용산공원 실행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전현희 땅집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