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0.02.10 05:31
[땅집고] “9억원에서 딱 100만원 빠졌잖아요. 이유가 뭐겠어요. (대출)규제 안 받는 선에서 거래가 이뤄진 거죠.” (금천구 A 공인중개사 대표)
지난 1월 18일 금천구 독산동 롯데캐슬3차(전용면적 59㎡)가 8억9900만원에 거래됐다는 소식이 부동산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다. 종전까지 롯데캐슬 단지 내 같은 평형대 최고가는 지난해 12월 6일에 거래된 8억3000만원이었다. 한 달만에 7000만원이 올랐다. 8억 초반대로 시세가 형성된 아파트가 단숨에 ‘고가 주택 기준’인 9억원의 턱밑까지 도달했다.
땅집고가 직접 계약을 체결한 A 공인중개소 대표를 찾아 물었다. A공인 대표는 “집주인이 처음엔 9억5000만원까지 이야기했는데, 매수자의 자금 여건과 대출 규제를 고려해 8억9900만원에 거래가 됐다”고 말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선 사려는 사람이 시세를 전혀 모르거나, 집값을 높이기 위해 계약을 우선 체결하고 취소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는 말도 나왔지만, A 공인 대표는 “모두 사실 무근이며 실거주를 위해 거래가 이뤄진 것이 맞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집값이 가장 저렴한 금천구가 12·16 부동산 대책 후 가장 주목을 받는 지역으로 떠올랐다. ‘강남3구’를 중심으로 9억원 이상 아파트가 몰린 지역의 집값이 하락한 가운데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몰린 금천구의 집값 상승세가 눈에 띈다. 교통 호재와 함께 9억원, 15억원 등을 기준으로 한 인위적 시장 억제책이 낳은 예정된 풍선 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정치적인 목적과 논리에 따라 인위적으로 대출규제 집값 한도를 9억원으로 설정하자,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지역의 집값이 9억원 수준까지 치고 올라가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지역이 금천구다.
■금천구 아파트 연일 '신고가' 행진… 10억 클럽 임박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독산동 롯데캐슬 1차 전용면적 59㎡는 지난해 9월 7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3개월이 지난 12월에는 8억3000만원에 거래가 돼 단기간에 8000만원이나 상승했다. 그리고 지난 1월 9억원에 100만원 모자란 금액에 계약이 이뤄졌다. 부동산 대책 발표 후 문의는 많지만 거래량은 뜸하다. 독산동 B공인중개소 대표는 “집주인들이 금천이 계속 뜰 것이라는 기대 심리로 매물을 거둬들였다”며 “매물이 없는 상황을 알고 있어서 집을 내놓더라도 호가를 높이고 있다”고 했다. 롯데캐슬 1차(전용면적 84㎡) 실거래 최고가는 9억4200만원인데, 현재 집주인들은 10억원 이상으로 내놓고 있다.
금천구 9억 이하 아파트도 연일 '신고가'를 경신 중이다. 시흥동 남서울힐스테이트 전용면적 84㎡는 지난해 3월 6억5000만원에 거래가 됐는데 12월에는 입주 후 처음으로 8억원대에 계약이 이뤄져 1년만에 1억5000만원이 올랐다. 남서울건영아파트(전용면적 88㎡)의 경우도 지난 12월 5억500만원에 계약돼 1년 전 3억325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해 51%나 상승해 서울에서 상승률 기준으로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로 기록됐다.
■강남 집값 잡았으나, 서민·중산층 집값은 상승세
규제 직격탄을 맞은 강남에서는 하락 추세가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강남3구 집값은 12·16 대책이 나온지 6주만인 1월 넷째주, 지난해 5월 말 이후 약 8개월만에 동반 하락한 데 이어 2주 연속 하락했다. 강력한 대출 규제와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으로 재건축 중심 고가 주택의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반면, 서울 금천구를 포함해 비강남권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이 대책 전보다 더 오르고 있다. 대출 규제 여파로 '풍선 효과'가 나타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경기도 수원 영통·팔달구와 용인 수지·기흥구 등은 아파트값이 매주 올라 대책 전보다 1% 이상 상승하면서 과열되고 있는 모습이다. 규제를 피한 지역에 투자 수요가 몰려 집값이 상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수도권 9억 이하 아파트 집값 계속 올라가나
금천구는 독산동 롯데캐슬 30평대를 제외하면 9억원 이상의 아파트가 없다. 규제를 피해 집값이 뛰기 시작하면서 서울에서 아파트 가격이 두 번째로 저렴한 도봉구 평균 매매가를 따라잡았다. 지난해 1월만 하더라도 도봉구와 금천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 차이는 3.3㎡당 96만원이었으나 지난 12월 기준으로 3.3㎡당 9만원까지 줄었다. 손성현 독산동 삼성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는 “최근 수원이나 용인 등 경기도에서도 10억이 넘었는데 금천구도 10억을 넘지 않겠냐”며 “서울에서 9억~10억대에 신축 아파트를 찾을 수 있는 곳은 여기 밖에 없다”고 했다. 이상우 익스포넨셜 대표는 “금천구 약점이 교통이었는데 신안산선이 착공하면서 값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으로 보인다”며 “안양천 맞은편에 위치한 광명과 같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당분간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과 경기도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했던 지역의 집값이 급등하면서 정부의 12·16대책이 집이 없는 서민·젊은층의 내집마련이 더 힘들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지금까지 정부는 강남 집값을 때려 잡으면 다른 지역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며 18번이나 대책을 쏟아냈지만, 결과는 정반대”라며 “하지만 현 정부의 지지층은 정부의 이런 정책을 지지하고 있어 정부이 부동산 정책 기조가 바뀌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박기홍 땅집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