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12.24 06:24 | 수정 : 2019.12.24 07:52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건축가들이 짓는 집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 협소주택이나 미국 주택은 TV나 영화를 통해 종종 소개되지만 그 의도와 철학적 의미를 알기는 쉽지 않다. 땅집고는 월간 건축문화와 함께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지은 주택을 소개한다.
[세계의 주택] 다락 위에 또 다락이 연결된 ‘제이하우스’
[세계의 주택] 다락 위에 또 다락이 연결된 ‘제이하우스’

집을 짓거나 리모델링으로 공간을 변화하고자 하는 이들은 특별한 공간에 대한 기대가 있다. 예를들어 전원주택을 짓는다면 널찍한 마당이나 정원, 옥상 테라스 등을 갖고 싶어하는 것이다. 그 중 ‘다락’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매력적인 공간이다.

제이하우스(JHOUSE)는 높은 층고를 복층(復層) 공간으로 활용한 집이다. 구조 변경없이 리모델링을 통해 다락 시공이 가능했다.
◆건축 개요

디자인 스튜디오: 주코 스튜디오(ZOOCO ESTUDIO)
디자인팀: 미겔 그레스포 피콧 외(Miguel Crespo Picot, Javier Guzmán Benito, Sixto Martín Martínez)
협력: 호르헤 알론소 외(Jorge Alonso, Teresa Castillo y María Larriba.)
시공: 님보 프로예토스(NIMBO PROYECTOS S.L)
사진작가: 이마헨 수브리미날(Imagen Subliminal)
◆건축가가 말하는 이 집은…
이 집은 수리하기 전에도 이미 다락이 있었다. 벽체와 나무 기둥이 다락을 떠받쳤다. 하지만 이번 설계에선 다락을 여러 개 만들어 공간을 입체적으로 꾸미는 것이 목표였다.
디자인팀: 미겔 그레스포 피콧 외(Miguel Crespo Picot, Javier Guzmán Benito, Sixto Martín Martínez)
협력: 호르헤 알론소 외(Jorge Alonso, Teresa Castillo y María Larriba.)
시공: 님보 프로예토스(NIMBO PROYECTOS S.L)
사진작가: 이마헨 수브리미날(Imagen Subliminal)
◆건축가가 말하는 이 집은…
이 집은 수리하기 전에도 이미 다락이 있었다. 벽체와 나무 기둥이 다락을 떠받쳤다. 하지만 이번 설계에선 다락을 여러 개 만들어 공간을 입체적으로 꾸미는 것이 목표였다.

주로 목재를 사용해 따뜻한 느낌을 강조하고, 전체적으로 흰색으로 마감해 넓은 공간처럼 느껴지도록 계획했다. 복층은 침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집은 개인 서재와 작업 공간으로 활용했다. 주변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천장이 낮아 집중력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 다양한 역할을 하는 10개의 다락

이 집은 다락이 10개로 나뉘었다. 높이에 따라 기능이 다르다. 어떤 공간은 일반적인 다락이지만, 어떤 공간은 가구처럼 활용되기도 한다.

가장 넓은 다락은 작업실로 꾸몄다. 다락 위에 하나의 다락을 더 얹어 책상과 걸상 역할을 하도록 했다. 다락 공간의 벽 전체에 나무 선반을 달아 서재처럼 책을 꽂아둘 수 있도록 했다.
■ 화이트톤과 유리로 넓어진 공간
1층엔 넓은 주방과 다이닝 공간, 그리고 거실이 있다.


기둥과 벽이 많지만 대부분은 화이트톤으로 처리하고, 유리나 반투명 유리를 활용해 집이 답답해보이지 않도록 했다. 다락 아래 공간도 기둥과 가벽을 세워 안락한 쉼터를 곳곳에 배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