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12.10 10:53 | 수정 : 2019.12.10 11:07
[땅집고] 현 정부 2년 반 동안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가격이 평균 8억2000만원으로 정부 출범 전과 비교해 40% 올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일 부동산114가 2017년 1월부터 올해 12월 현재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매매 신고가 이뤄진 서울 아파트 24만1621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올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격은 8억2376만원으로 2017년 상반기 5억8524만원에 비해 40.8%, 평균 2억3852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6개월(반기) 별 총 실거래가격의 평균가로 분석했다.
10일 부동산114가 2017년 1월부터 올해 12월 현재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매매 신고가 이뤄진 서울 아파트 24만1621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올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격은 8억2376만원으로 2017년 상반기 5억8524만원에 비해 40.8%, 평균 2억3852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6개월(반기) 별 총 실거래가격의 평균가로 분석했다.

2017년 상반기 6억원 아래였던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 가격은 2017년 하반기 6억5654만원으로 오른 뒤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대출 규제 강화 내용이 포함된 8·2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2018년 상반기에 6억2883만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2018년 하반기에 다시 6억9228만원으로 상승했고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을 포함한 작년 9·13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2019년 상반기 7억9228만원으로 급등한 뒤 하반기에 8억2376만원으로 상승했다.
구별로는 강남구의 실거래가격이 평균 18억2154만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다. 2017년 상반기(11억8817만원) 대비 53.3% 뛰어 상승률로도 1위다.
그러나 강남구를 제외하고 2년 반 동안 실거래가격이 50% 이상 오른 곳은 모두 강북이다. 2017년 상반기 평균 5억4962만원이던 종로구 아파트의 실거래가격은 올해 하반기 평균 8억3492만원으로 51.9% 상승했다. 교남동 ‘경희궁자이’ 등 재개발 사업으로 새 아파트들이 입주하면서 평균 거래가격을 3억원 가까이 끌어올린 것이다.
세번째로 상승률이 높은 곳은 광진구로 2017년 상반기 6억2082만원에서 올해 하반기 평균 9억3929만원으로 2년 반 동안 51.3%(3억1000여만원) 뛰었다. 용산구(9억8642만원→14억8725만원), 서대문구(4억7094만원→7억660만원)도 각각 50.8%, 50.0% 뛰며 상승률이 50%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올해 실거래가 상승률은 강북 등 비강남권이 강남보다 높다. 종로(33.2%)·구로(19.5%)·서대문(18.2%)·영등포(13.7%)·마포구(13.5%) 등 비강남권이 강남(12.4%)·송파(10.6%)·서초구(5.8%) 등 강남권보다 많이 올랐다. 성동구 아파트의 올해 하반기 거래가는 평균 9억5596만원, 마포구는 9억3283만원으로 10억원에 육박한다.
부동산114 김은진 리서치팀장은 "마·용·성 등 비강남 인기지역의 주요 단지 전용 84㎡는 최근 실거래가격이 15억∼17억원 선으로 강남권 시세를 뺨친다"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새 아파트 선호현상이 강해지면서 교통 등 입지여건이 뛰어난 강북의 새 아파트와 정통 부촌인 강남 아파트 간의 격차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
구별로는 강남구의 실거래가격이 평균 18억2154만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다. 2017년 상반기(11억8817만원) 대비 53.3% 뛰어 상승률로도 1위다.
그러나 강남구를 제외하고 2년 반 동안 실거래가격이 50% 이상 오른 곳은 모두 강북이다. 2017년 상반기 평균 5억4962만원이던 종로구 아파트의 실거래가격은 올해 하반기 평균 8억3492만원으로 51.9% 상승했다. 교남동 ‘경희궁자이’ 등 재개발 사업으로 새 아파트들이 입주하면서 평균 거래가격을 3억원 가까이 끌어올린 것이다.
세번째로 상승률이 높은 곳은 광진구로 2017년 상반기 6억2082만원에서 올해 하반기 평균 9억3929만원으로 2년 반 동안 51.3%(3억1000여만원) 뛰었다. 용산구(9억8642만원→14억8725만원), 서대문구(4억7094만원→7억660만원)도 각각 50.8%, 50.0% 뛰며 상승률이 50%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올해 실거래가 상승률은 강북 등 비강남권이 강남보다 높다. 종로(33.2%)·구로(19.5%)·서대문(18.2%)·영등포(13.7%)·마포구(13.5%) 등 비강남권이 강남(12.4%)·송파(10.6%)·서초구(5.8%) 등 강남권보다 많이 올랐다. 성동구 아파트의 올해 하반기 거래가는 평균 9억5596만원, 마포구는 9억3283만원으로 10억원에 육박한다.
부동산114 김은진 리서치팀장은 "마·용·성 등 비강남 인기지역의 주요 단지 전용 84㎡는 최근 실거래가격이 15억∼17억원 선으로 강남권 시세를 뺨친다"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새 아파트 선호현상이 강해지면서 교통 등 입지여건이 뛰어난 강북의 새 아파트와 정통 부촌인 강남 아파트 간의 격차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상혁 땅집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