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9.12.06 06:36
[땅집고]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이후 서울 강남 등 인기지역에서 청약 당첨 가점이 70점대까지 치솟고 있다. 상한제가 시행되면 수익성 저하로 주택 공급이 급감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자, 새 아파트 몸값이 높아질 것이란 심리가 확산되면서 신규 아파트 청약에 고(高) 가점자들이 대거 몰리고 있는 탓이다. 이렇다보니 상대적으로 청약 가점이 낮은 30대는 “당첨 가능성이 없다”며 청약을 포기하는 분위기다.
업계에서는 분양가상한제를 확대 시행해도 9억 초과 아파트 중도금 대출 규제 등으로 돈없는 실수요자에게 혜택이 돌아가기 보다는 일부 현금 부자들이 시세차익을 고스란히 가져갈 것이란 비판도 나온다.
■ 르엘 신반포 최저점 69점…3인 가족은 평생 도달 못해
지난달 19일 당첨자를 발표한 서울 서초구 잠원동 반포우성 ‘르엘 신반포 센트럴’ 아파트 당첨 청약가점은 최고 79점이었다. 4개 주택형 가운데 3개 주택형에서 당첨 최고 가점이 79점을 기록했다. 4개 주택형 모두 최저점이 69점이었다. 가점 70점을 받으려면 무주택 기간과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만점(15년 이상)인 상태에서 배우자를 제외한 부양가족이 3명 이상이어야 한다.
업계에서는 분양가상한제를 확대 시행해도 9억 초과 아파트 중도금 대출 규제 등으로 돈없는 실수요자에게 혜택이 돌아가기 보다는 일부 현금 부자들이 시세차익을 고스란히 가져갈 것이란 비판도 나온다.
■ 르엘 신반포 최저점 69점…3인 가족은 평생 도달 못해
지난달 19일 당첨자를 발표한 서울 서초구 잠원동 반포우성 ‘르엘 신반포 센트럴’ 아파트 당첨 청약가점은 최고 79점이었다. 4개 주택형 가운데 3개 주택형에서 당첨 최고 가점이 79점을 기록했다. 4개 주택형 모두 최저점이 69점이었다. 가점 70점을 받으려면 무주택 기간과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만점(15년 이상)인 상태에서 배우자를 제외한 부양가족이 3명 이상이어야 한다.
다음날 발표된 강남구 대치동 ‘르엘 대치’ 아파트 청약 당첨 최고점도 69점에 달했다. 주택형별 최저 당첨 가점도 64점이었다. 두 단지는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전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상한제 대상에서 벗어난 단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첨 가점이 치솟은 것은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낮게 책정되면서 ‘당첨되면 로또’라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서울에서는 분양하는 단지마다 수십~수백대 1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어 60~70점대 가점 사례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에서 공급된 '효창 파크뷰 데시앙'은 1순위 청약에서 186.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 강북 아파트가 경쟁률 100대 1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같은 날 1순위 청약을 한 '꿈의숲 한신더휴'는 73가구 모집에 평균 38.2대 1의 경쟁률로 마감했다.
■ “30대는 청약 포기하고 기존 주택 매입 나서”
‘르엘 신반포 센트럴’의 당첨 최저점인 69점은 4인 가족이 무주택 기간(만점 32점)과 청약통장 가입 기간(만점 17점)을 다 채워야 확보할 수 있는 최대 점수다. 하물며 3인 가족이라면 최대 점수가 64점에 불과해 평생 당첨을 꿈도 꾸지 못한다. 30대 실수요자에게라면 당첨을 포기하게 할만한 점수인 셈이다.
청약 당첨 가점이 치솟자 당첨이 어려워진 30대는 청약을 포기하고 기존 주택 매입으로 돌아서는 양상이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30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은 31.2%로 전 연령대 가운데 1위였다. 전통적으로 주택 매입 비중이 높은 연령은 취학 자녀를 둔 40대였지만 분양가 상한제 도입을 예고한 지난 8월부터 30대 매입 비중이 30.4%로 높아져 40대(29.1%)를 추월했다.
■ 신축 아파트 몸값 계속 높아져…대출 규제로 현금부자만 유리?
최근 청약 시장이 끓어오르는 또 다른 이유는 신축 아파트 몸값이 빠르게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집값이 낮았던 서울 관악·은평구 등 외곽지역에서도 최근 신축 아파트의 경우 전용 84㎡ 주택형이 10억원을 속속 돌파하고 있다. 지난 6월 입주한 관악구 봉천동 ‘e편한세상서울대입구’ 전용 84㎡는 지난 10월 10억5000만원에 거래돼 관악구 아파트 최초로 10억원에 거래됐다.
신축 쏠림 현상 배경에는 서울의 아파트 공급 부족이 있다. 여기에 불을 붙인 것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다. 정부는 상한제를 도입하면서 이미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조합의 경우 내년 4월 말까지 입주자 모집 공고를 신청하면 상한제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런 단지들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가운데 둔촌주공, 개포주공1·4단지 등 일부에 불과하다.
이렇게 분양가 상한제 막차 아파트 공급이 마무리된 이후가 더 문제다. 사업성이 떨어진 재건축 아파트들은 상한제가 풀릴 때까지 사업을 무기한 연기하고, 그나마 공급되는 아파트는 더 낮은 분양가 때문에 경쟁률은 더욱 치솟을 것으로 점쳐진다. 이미윤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전문위원은 “상한제 적용 지역은 시간이 지날수록 경쟁이 치열해져 강남권에서는 당첨 커트라인 70점대가 일반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향후 몇 년간 서울 아파트 공급은 가뭄에 콩나듯하면서 극소수 현금 부자에게 로또를 쥐여주는 꼴밖에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