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자가보유율 61.1%로 역대 최고치…10명 중 8명 "내 집 꼭 필요"

    입력 : 2018.05.08 17:55

    지난해 자기 집을 소유한 가구의 비율인 ‘자가(自家) 보유율’이 61.1%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자기가 소유한 집에 자기가 직접 사는 비율인 ‘자가점유율’도 57.7%로 2년 연속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계속 높아져 지난해 82.8%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7~9월 전국 6만가구를 개별 면접해 조사한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격년제로 시행했던 주거실태조사는 올해부터 1년 단위로 바뀌었고 표본 숫자도 2만가구에서 6만가구로 늘어났다.

    지난해 전국 자가보유율은 61.1%로 2016년(59.9%)보다 1.2%포인트 증가했다. 2006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높았다.

    지역별·소득계층별 자가보유율 추이. /국토교통부 제공

    수도권 자가보유율은 52.7%에서 54.2%로, 도 지역은 68.9%에서 70.3%로 각각 올랐다. 지방광역시는 63.1%로 전년도와 똑같았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1~4분위)이 48.5%에서 49.3%로 0.8%포인트, 중소득층(5~8분위)은 62.2%에서 63.8%로 1.6%포인트, 고소득층은 79.3%에서 79.9%로 0.6%포인트 올랐다.

    자가점유율은 57.7%로 2016년 56.8%보다 0.9%포인트 올랐다. 2016년에도 2006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였으나 작년엔 이를 다시 넘어섰다.

    수도권 자가점유율은 48.9%에서 49.7%로 0.8%포인트 올랐다. 지방 광역시는 59.9%에서 60.3%로 0.4%포인트, 도 지역은 66.7%에서 68.1%로 1.4%포인트 상승했다.

    소득계층별로 저소득층(1~4분위)은 46.2%에서 47.5%로 1.3%포인트, 중소득층(5~8분위)은 59.4%에서 60.2%로 0.8%포인트 올랐으나, 고소득층(9~10분위)은 73.6%에서 73.5%로 오히려 줄었다.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응답자 비율은 82.8%를 기록했다. 2014년 79.1%에서 2016년 82%로 오른데 이어 지난해 다시 상승한 것이다.

    강미나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평균 70%를 넘어서면서 전월세 부담이 커지는 반면 주택 공급은 늘고 대출 상품도 많아져 수도권 저·중소득층 중심으로 내집을 마련하겠다는 의식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단지. /조선DB

    지난해 주택 점유 형태는 자가 거주가 57.7%, 보증금 낀 월세가 19.9%를 기록했다. 전세는 15.2%이었다.

    전월세 가구 중 월세 비중은 2016년까지 빠르게 상승했지만 작년엔 다소 정체돼 전년보다 0.1%포인트 줄어든 60.4%를 기록했다.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지난해 전국 5.6배로 전년도와 같았다. 수도권은 6.7배로 광역시(5.5배)와 도 지역(4배)보다 높았다.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월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Rent Income Ratio)은 전국 17%로 지난해(18.1%)보다 줄었다.

    생애최초 내집 마련에 걸린 기간은 6.8년으로 2014년 6.9년, 작년 6.7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가구주 연령별 "주택 보유가 꼭 필요하다"는 응답자 비율. /국토교통부 제공

    지난해 한 집에 평균 거주한 기간은 8년으로 전년(7.7년)에 비해 소폭 늘었다. 자가 가구는 11.1년이었지만 임차 가구는 3.4년이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의 비율은 5.9%(114만가구)로 전년(5.4%·103만가구)보다 소폭 증가했다.

    1인당 평균 주거 면적은 2014년 33.5㎡에서 2016년 33.2㎡, 지난해 31.2㎡로 계속 줄었다. 이는 실태조사 방식이 설문이 아닌 건축물대장 등 행정자료를 확인하는 식으로 바뀐 영향도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97점으로 전년 2.93점보다 소폭 올랐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