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직방과 다방, 부동산시장 훼방

    입력 : 2018.04.16 03:07

    점유율 62% '공룡'이 된 그들… 소비자·공인중개사들에게 횡포

    서울 관악구에서 10년 넘게 부동산 중개업소를 운영해온 A씨는 최근 부동산 애플리케이션(앱) '직방' 회원 탈퇴를 고민 중이다. 직방에 내는 '광고 수수료'가 2016년과 2017년 두 차례 오르면서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A씨는 "중개소는 돈을 못 벌고, 직방만 돈을 가져가는 구조"라며 "수수료가 부담스러우면 '회원 탈퇴하면 되지 않느냐'는 식의 배짱 영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갈수록 손님들의 신뢰가 줄어드는 것도 문제다. A씨는 "실제 매물이 아닌 새 건물 사진이나 '뽀샵(포토샵의 은어)'으로 바꾼 사진을 올린 집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손님들이 아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서울 마포에서 오피스텔을 알아보던 이모(33)씨는 '다방'에서 올라온 매물을 보고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앱에서 확인한 사진과 달리 집이 훨씬 낡았고, 실제 내야 하는 관리비도 2배나 비쌌다. 이씨는 "자신이 내놓지 않은 집이 직방이나 다방 등에 올라와 항의해 내린 친구도 있다"며 "허위 매물 문제가 이 정도로 심각한 줄 몰랐다"고 말했다.

    직방과 다방, 부동산시장 훼방
    /일러스트=김성규
    최근 공인중개사들 사이에선 부동산 앱 시장 1·2위 업체인 직방과 다방에 대한 원성이 높다. 높은 시장점유율을 무기로 광고비를 계속 올리면서 중개업소에 부담을 떠넘긴다는 내용이다. 소비자 사이에선 허위 매물 문제를 개선하지 않고, 거짓 정보를 계속 제공한다는 불만이 여전하다.

    ◇수수료 2년간 2배 올라… 고사 직전

    2012~2013년에 각각 등장한 직방과 다방은 원래 원룸과 오피스텔 매물을 다뤘다. 앱 누적 다운로드 수 2000만 건, 1500만 건을 기록하며 이용자 숫자를 급격히 늘렸고 2016~2017년 아파트까지 사업 영역을 넓혔다. 이 과정에서 두 회사 모두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내세우면서 TV광고비 지출을 늘렸고, 이는 회원으로 가입한 공인중개사의 부담으로 이어졌다.

    직방과 다방은 올해 1~2월 부동산 모바일 앱 시장에서 62%의 점유율(닐슨코리안클릭 조사 기준)을 기록 중이다. 직방은 최근 5위 업체 '호갱노노'를 인수해 덩치를 더 키웠다. 부동산 인터넷 웹 시장 1~2위인 네이버·다음 부동산의 점유율은 30% 정도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직방과 다방이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무기로 영세 중개업소들을 고사(枯死)시키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직방·다방 허위 매물 유형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6년 공인중개사가 서울의 '일반 매물'을 광고할 때 직방에 내는 한 달 수수료는 건당 1만6000~1만8000원 정도였다. 하지만 현재 서울 최고가는 건당 3만4000원에 달한다. 중개사 부담 비용이 약 2배로 늘어난 것이다.

    직방은 이용자가 지하철역을 검색하면 앱 화면 상단에 매물이 노출되도록 하는 특별 상품도 운영 중인데, 가장 비싼 서울 강남역은 중개업소가 내는 수수료가 월 92만4000원에 달한다. 강남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서울 강남 지역의 같은 매물을 광고할 때 직방은 최고 10배 비싼 수수료를 받기도 한다"고 말했다. 다방의 광고 수수료는 직방의 80%에 달하지만, 다른 회사에 비해 비싼 것은 마찬가지이다.

    부산에서 중개업을 하는 박모씨는 "한 달 매출이 100만~200만원인 중개사가 절반 정도인데, 건물 임차료와 직방·다방 광고 수수료를 빼면 남는 게 없다"며 "직방과 다방 점유율이 높다 보니 중개사 입장에선 안 할 수도 없고 가랑이가 찢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 성동구에서 만난 한 중개업자도 "주변에 직방에 내는 수수료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폐업한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독점 구조로 계속 넘쳐나는 허위 매물

    직방과 다방에 내는 비싼 수수료 때문에 중개업자들이 허위 매물을 양산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중개사 입장에선 적지 않은 광고 수수료를 냈기 때문에 해당 매물이 거래됐더라도, 앱 이용자들로부터 문의 전화를 받기 위해 (매물을) 그대로 놔둔다"고 말했다.

    직방이 허위 매물을 막겠다며 운영하는 '안심 중개사' 제도가 광고 상품처럼 이용되는 것도 문제로 꼽힌다. 직방은 신규 가입 공인중개사라도 일정 조건만 갖추면 '안심 중개사' 자격을 주고 매물 검색 때 상단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돈을 내면 이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직방과 다방은 네이버와 다음 등과 달리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에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아, 이들 업체에 대한 허위 매물 신고에 대해선 센터에서 처리할 수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도 나섰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올해 '소비자법집행감시요원' 활동 대상에 직방과 다방을 포함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제도는 일반 시민을 감시 요원으로 선정, 부당 광고나 소비자 기만 정보를 제보하면 사례비를 주는 것이다. 직방 관계자는 고(高)수수료 논란에 대해 "패키지 상품이라 수수료가 많이 인상된 것처럼 보이는데, 회원 중개사들에게 가는 문의 전화 건수가 다른 업체에 비해 월등히 높아 그만큼 효과가 있다"며 "허위 매물 적발로 탈퇴하면 12개월간 재가입을 금지하는 등 엄격한 시스템을 가동 중"이라고 말했다. 다방 측도 "'다방 암행어사 제도' 등을 통해 허위 매물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