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소득보다 못한 집에 산다…서울, 소득 대비 주택수준 전국 최악

    입력 : 2018.01.17 10:40

    서울의 주택 임대료가 비싼 탓에 서울 시민들은 자신의 소득·자산 수준보다 떨어지는 집에서 거주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은 가구의 소득·재산과 비교해 적정한 집을 빌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주택임차가능지수'를 전국적으로 비교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주택임차가능지수는 가구가 소득이나 재산 수준과 비교해 같은 수준의 집을 빌릴 수 있는 경우를 100으로 한다.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자산·소득 대비 집의 수준이 떨어진다는 의미, 100보다 높을 경우 집의 수준이 더 높다는 의미다.

    주택임차가능지수. /자료=주택금융연구원

    2016년 기준 전국 주택임차가능지수는 115를 기록했다. 2012년(110)과 비교해 주택 임대료 부담이 낮아져 같은 소득·자산 대비 더 좋은 집에 살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금융연구원은 "이 기간 전세는 올랐지만 월세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면서 "임대료 부담이 줄어든 주된 원인은 이자율이 낮아져 전반적인 가계 이자비용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지수가 92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100 보다 낮았다. 이는 서울의 주택 임대료가 비싸 서울 시민들은 자기 소득·자산 수준보다 질이 떨어지는 주택에서 살아야 한다는 의미다. 서울은 2013년(95) 이후 주택임차가능지수가 계속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강원도의 주택임차가능지수가 148로 전국에서 소득 대비 가장 질 좋은 집에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광주와 충북, 경북이 144로 2위였다.

    반면 인천이 109, 경기가 114를 기록해 수도권의 주택 임대료 부담이 전국에서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백인걸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이나 소득에 따라 주택금융정책과 임차시장정책이 차별적으로 수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