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통영 폐조선소에 테마파크, 목포에 '1897 개항거리'

    입력 : 2017.12.14 23:48

    [도시재생 68곳 낙점]

    부산 사하 등 스마트시티형 5곳
    부평구 미군부지엔 먹거리타운
    부동산 과열된 서울은 제외

    경남 통영 도남동에 있는 조선소 신아sb는 한때 수주 잔액 기준 세계 20위 안에 드는 중견기업이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수주 감소로 경영난을 겪다가 2015년 11월 파산했다. 용접 불꽃이 꺼진 조선소는 도심 속 흉물이 됐고, 주변 상권은 침체했다.

    신아sb 폐조선소 부지가 도시 재생 사업을 통해 남해안 관광 명소이자 해양 산업 허브(hub)로 탈바꿈한다. 50만9687㎡(15만4000평) 부지에 호텔과 테마파크, 국제미술관, 수상 스포츠센터와 상업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해양산업 육성을 위한 창업센터와 R&D센터 등도 만든다. 사업을 제안한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정부 예산과 민간 투자 유치 등 총 사업비 1조1041억원을 투입하고, 1만2000명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국 68곳 '도시 재생 뉴딜' 추진

    정부는 14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통영 도남동 일대 등 전국 68곳을 내년 도시 재생 뉴딜 시범사업지로 의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5년간 전국 500개 지역에 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공약한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이 닻을 올린 것이다.

    중앙 정부·공공기관 선정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24곳
    지난 10월 접수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 219건 중 국토교통부가 24곳(공공기관 제안 10곳 포함)을 뽑았고, 선정 권한을 위임받은 광역 지자체에서 44곳을 낙점했다. 지역 간 형평성을 고려해 서울을 뺀 16개 시·도에 고루 분포됐다. 경기도가 8곳, 전북·경북·경남이 각각 6곳씩 뽑혔다.

    규모가 가장 큰 '경제 기반형' 사업에는 4개 지역이 지원했지만, 통영 1곳만 선정됐다. 국토부는 "사업 준비 상태와 계획안 실현 가능성 등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면적 5만㎡ 이하 '우리동네살리기' 유형 사업은 부산 영도구와 인천 동구 등 17곳, 5만~10만㎡ 규모 '주거지 지원형'은 대구 북구와 대전 동구 등 16곳이다. '일반 근린형'(10만~15만㎡)은 전북 전주와 충북 청주 등 15곳, '중심 시가지형'(20만㎡)은 전남 순천과 경남 김해 등 19곳이 심사를 통과했다.

    정부는 이날 선정한 68곳을 내년 2월 도시 재생 선도 지역으로 지정하고, 활성화 계획을 수립, 본격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 예산 4638억원 주택도시기금 6801억원 등 1조 1439억원이 직접 지원된다.

    "내년 로드맵… 매년 100여곳 선정"

    지역 역사·문화자산을 활용해 관광산업과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사업이 다수 선정됐다. 1897년 개항(開港)한 항구도시 전남 목포는 행복동 일대 300여개 근대 건축물을 활용한 '1897 개항문화거리' 등을 조성하고, 수익형 창업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경남 하동군은 섬진강 인근 폐철도를 공원화, 관광객을 유치하고 카페테리아 등을 운영할 방침이다.

    스마트시티형 도시 재생 사업도 5곳이 선정됐다. 부산 사하구는 태양광 발전으로 낙후 지역 주민 시설에 전력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구축한다. 노후 주거지 정비 사업으로는 경기 광명시가 무허가 건축물이 많고 상습 침수 지역인 광명5동 164번지 일대에 청년주택 등 공공임대주택 284가구를 짓기로 했다. 인천 부평구는 미군 부대 반환 부지를 사들여 일자리센터와 먹거리마당 등을 조성한다.

    유병권 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장은 "내년 2월 발표할 '도시 재생 뉴딜 로드맵'을 통해 정책 추진 방향을 밝히겠다"며 "매년 100여곳 신규 사업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 과열로 도시 재생 사업지 선정에서 제외된 서울 추가 지정 여부는 내년 초 결정될 전망이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