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테라조와 목재, 여백이 만든 풍경화같은 빌라

    입력 : 2017.12.11 06:50 | 수정 : 2017.12.11 11:36

    [아름다운 주택] 테라조와 목재, 여백으로 이뤄진 평창동 빌라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S빌라 외관. /이지은 인턴기자

    테라조(Terrazo)와 목재를 주로 이용해서 구성한 서울 종로구 평창동 S빌라다. 구역별 용도가 명확하고, 방마다 중심이 되는 가구가 정방향에 하나씩만 심플하게 놓여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평창동 S빌라 내부 평면도. /Tectonics Lab 제공.

    [대지]

    평창동 S빌라의 거실 전경. 탁 트인 넓은 창으로 보이는 자연 경관이 아름답다./ Tectonics Lab 제공

    이 집은 북한산 아랫자락에서 30년동안 누군가의 안식처가 됐던 아늑한 곳이다. 오래된 적벽돌과 기와 지붕이 풍기는 고색창연함은 산세(山勢)의 수려한 풍경과 어우러져 집에 들어서는 사람들을 정답게 맞이한다.

    길게 트인 거실은 채광이 좋다./ Tectonics Lab 제공.

    길게 트인 거실은 집안 가득히 자연을 끌어들인다. 북악산을 바라보고 아담하게 자리잡은 마당, 벚나무가 드리워진 거실, 목련나무가 그림처럼 걸린 안방, 북한산을 벗삼은 욕실을 갖춘 이 고주택은 한 폭의 풍경화같다.

    [재료: 테라조]

    테라조를 활용해 싱크대 벽면을 꾸몄다. 자연을 닮은 고즈넉한 분위기를 풍긴다./ Tectonics Lab 제공

    시간의 흔적을 담은 적벽돌은 옛스러운 멋을 풍기며 집에 강인한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테라조는 작고 다양한 형태의 자연석이 퇴적해 만들어진 조화로운 재료다. 이는 시간의 자취를 고스란히 내부로 들여 옛 집에 지속적인 생명력과 영속성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견고한 테라조는 가족들이 일상을 나누는 이 집의 구심점이 된다.

    욕실 벽에도 테라조를 활용했다./ Tectonics Lab 제공

    자연을 품은 테라조의 물성은 집 안 가장 깊숙한 곳에서 극대화된다. 창너머 북한산이 보이는 욕실은 테라조가 빚어낸 생명력으로 충만하며, 하루 일과에 지친 몸을 씻는 건축주에게 자연의 기쁨을 선사한다.

    [재료: 목재]

    원목 마루와 목재 세살문으로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난다./ Tectonics Lab 제공

    이 집을 둘러싼 북한산과 북악산, 그리고 아담한 정원은 집의 일부가 되어 사계절 내내 자연의 숨결을 드리운다. 목재는 시간의 결을 품고 테라조와 함께 옛 집을 감싸는 더없이 훌륭한 건축재료다.

    집 안에 들어서면 목재로 정교하게 짜낸 세살문이 부드러운 색조를 품고 정답게 손님을 맞이하고, 바닥에 차분히 깔린 원목마루는 방문객들의 발걸음을 포근히 감싼다.

    서재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마호가니 책상이다./ Tectonics Lab 제공

    집의 은은한 바탕이 된 목재는 독립적인 오브제가 되어 건축주의 일상을 풍요롭게 한다. 침실 가운데에 놓인 마호가니 원목 침대는 창가에 핀 순백의 목련꽃, 곧게 자란 고목나무와 함께 포근한 잠자리를 만들어준다. 서재의 중심에 자리한 정방형의 마호가니 책상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학문의 깊이를 더해갈 것이다.

    [여백]

    집안 곳곳에 여백을 활용했다./ Tectonics Lab 제공

    정제된 선이 만들어내는 하얀 여백은 삶의 풍경 그 자체다. 여백은 자연의 다채로움과 시시각각 변하는 빛의 변화를 그대로 머금으며, 목재의 색채와 질감을 조화롭게 녹여낸다. 이렇듯 여백은 단순히 비워진 공간이 아니라, 본연의 색조와 분위기를 가진 재료 그 자체다.

    단출하게 비워진 여백은 곧 집이 담아내는 삶의 모습이다. 집은 다사다난한 현실에서 벗어나 일상을 위로받는 안식처이기에 군더더기 없이 담백한 삶을 투영하는 배경이 된다.

    침실에는 오직 침대만을 넣어 휴식에 집중할 수 있게 만들었다./ Tectonics Lab 제공

    최소한의 기능을 담은 구심형 공간은 집에 대한 본질적인 가치를 일깨운다. 침실에는 오직 침대만이 공간 중심에 있어 어떠한 것에도 간섭받지 않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각 공간에 명확하게 부여된 기능적 경계는 의도된 단순함 속에서 본연에 충실한 삶을 가능하도록 한다. 기능적 경계는 다양한 층위의 빛에 의해 극대화하거나 흐려져 공간의 분리와 통합을 동시에 이뤄낸다.

    김현대 이화여대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홈페이지 제공
    김현대는 연세대 건축공학과에서 학사를,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건축석사를 받았고, 미국건축사(AIA) 및 LEED AP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화여대 교수이며 2015년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임명되기도 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