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이 텅 빈 새만금 땅에… 기업 100개 유치"

    입력 : 2017.08.30 23:33

    - 이철우 새만금개발청장의 포부
    "1991년 첫삽, 아직도 매립안돼… 예산 크게 늘린 정부에 기대… 현재 기반시설 조성에 탄력"

    "이렇게 좋고 넓은 땅이 텅텅 비어 있는 게 답답하고 아쉬워요. 임기 내 산업연구용지에 국내외 기업 100개를 들여오는 게 목표입니다."

    이철우 새만금개발청 청장은 30일 "정부가 새만금을 100대 국정 과제에 포함하면서 기반시설 조성에 탄력이 붙고 있다"며 "미진했던 기업 유치도 올해 안에 좋은 소식이 있을 것 같다"고 했다. 관광·문화 관련 기업 몇 군데와 투자 논의가 상당히 진척됐고, 신재생에너지·자동차 관련 굵직한 제조업체도 추가될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이철우 새만금개발청장
    이철우 새만금개발청장은“새만금 교통·물류의 중심축이 될 동서도로는 2020년, 남북도로는 2022년 완공된다”면서“용지 매립 등 기반시설이 조속히 구축되려면 예산 확보와 관계부처 간 협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현종 기자
    이 청장은 "새만금 사업을 본격화하겠다는 정부 의지가 예산 편성에서 나타났다"며 "핵심 기반시설인 동서·남북도로 사업 예산이 대폭 늘었고, 공공(公共) 주도 매립 사업비가 새로 반영돼 투자 여건이 한층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9일 새만금개발청 소관 내년도 예산으로 1922억원을 편성했다. 2017년 정부 예산안(1059억원)보다 81%(863억원)나 늘었다. 그는 "대통령이 직접 새만금 사업을 챙기겠다고 언급한 게 예산 확보에 도움이 됐다"고 했다.

    새만금 개발은 전북 군산과 부안을 연결하는 방조제 안쪽에 총사업비 22조원을 들여 291㎢(약 8800만평)에 달하는 매립지를 조성하고 이를 글로벌 경제 중심지로 개발하는 국책사업이다. 1991년 첫 삽을 떠서 우여곡절 끝에 2006년 방조제를 준공했지만, 지금도 상당 부분이 '물바다'로 남아 있다. 현재 매립이 완료된 땅은 27㎢에 그치고, 개발이 진행되는 땅도 계획 면적의 36%(105㎢) 정도이다. 새만금 지역에 입주해 공장을 가동 중인 기업은 4곳에 불과하다.

    애초 새만금은 전체 용지의 55%를 민자 개발로 계획했다. 민간 투자자가 바다에 잠긴 땅을 메워 용지를 조성, 이를 분양해 비용을 회수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민간 투자자가 나서지 않았고 문재인 정부는 공공 주도 매립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 청장은 "용지 매립은 공공이 주도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라면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기존 공기업이 사업을 맡기 어렵다면, 새로운 공기업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새만금 지역을 십(十)자로 연결하는 동서도로와 남북도로 등 기반시설을 조기에 구축하고, 민간 투자를 유도할 규제 완화에 주력하겠다"고 했다. 그는 "규제 완화라는 게 결국은 임대료 더 낮추고, 입주 기업에 더 많은 인센티브를 주는 것 아니겠느냐"며 "임대 용지를 많이 확보해서 투자 기업에 최장 100년 정도 장기 임대를 내주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북 남원이 고향인 이 청장은 초임 사무관이던 1989년 전북도청 기획실 소속으로 새만금 준비 과정을 지켜봤다. 이후 국무조정실 총무기획관, 국무총리실 평가총괄정책관,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실장 등을 역임하고 지난달 13일 새만금개발청장에 취임했다. "30년 공직 생활의 처음과 끝이 새만금으로 연결된다"는 그에게 새만금 사업이 잘돼야 하는 이유를 물었다. 그는 "지금은 사드(THAAD) 문제로 관계가 경색됐지만, 중국을 상대로 할 비즈니스·문화 중심지로 새만금만큼 좋은 곳이 없다"고 강조했다. "빈말이 아니라 새만금은 온 국민이 꼭 와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름다워요. 마스터플랜을 잘 만들어 실행하면 대한민국의 보물이 될 땅입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