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세종시 착공 10년...허허벌판이 10년새 인구 26만명 첨단도시로, 인구유입률도 7년째 1위

    입력 : 2017.07.18 15:45 | 수정 : 2017.07.18 15:45

    세종시 밀마루 전망대에서 바라본 신도시 아파트 건설 현장 모습. 위에서부터 2013년 10월, 2014년 8월, 2016년 3월에 각각 촬영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연합뉴스

    행정중심복합도시로 개발된 세종시가 오는 20일로 착공 10년을 맞는다. 세종시 역시 출범 5년째에 접어든다. 이 기간 세종시는 과연 어떻게 변모했을까.

    2007년 당시만 해도 세종시는 논밭과 구릉지뿐인 허허벌판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아파트와 공공청사, 도로 등이 속속 놓이면서 상전벽해(桑田碧海)가 이뤄졌다.

    중앙행정기관 등 정부기관 55곳이 이전하고, 주택은 약 10만가구가 공급됐다. 인구는 2012년 10만여명에서 현재 26만여명으로 약 2.6배가 됐다.

    사실 세종시 개발은 우여곡절의 연속이었다. 2004년 8월 11일 연기군과 공주시 지역 일대가 신행정수도(행정중심복합도시) 입지로 최종 확정됐다. 신행정수도 위헌 결정이 난 뒤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바뀌었고 2006년 1월 행복청이 출범했다. 그해 12월 세종시로 명칭이 확정됐고, 2007년 7월 20일 대망의 첫 삽을 떴다. 10년의 시작이었다.

    이원재 행복청장은 18일 착공 10년을 맞아 “세종시가 국가행정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했고 살기 좋은 정주 여건을 조성했다”고 자평했다.
    이원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세종시는 2012~2016년까지 4단계에 걸쳐 중앙행정기관 40곳과 정부출연연구기관 15곳 등 총 55개 기관이 이전하면서 국가행정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했다. 2030년까지 총 20만가구가 계획된 공동주택은 2010년 첫마을 1500여가구 분양을 시작으로 매년 1만가구 이상 공급했다. 현재 9만7000여가구가 공급을 마쳤고 이 가운데 5만5000여가구는 준공됐다.

    행복도시 개발 사업 중 행정기관 이전과 기반시설 투자를 골자로 한 1단계 개발은 2015년 완료됐다. 작년부터 2단계 개발이 시작됐는데, 핵심은 자족기능 확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3단계 개발을 마치면 인구 80만명(읍·면 30만명 포함)의 명품도시를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행복청은 세종시가 세계적 모범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명실상부한 행정중심도시 ▲첨단기업 등의 유치를 통한 모범적인 자족도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미래 첨단 스마트시티 ▲중부권 최대의 문화·관광도시 ▲상생발전 및 동반성장 선도도시 건설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이 청장은 “2007년 기공식 이후 10년간 '행복도시 세종'은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며 국토의 균형발전을 선도하고 있다”며 “성공적인 사업 완수를 통해 '행복도시 세종'이 대한민국 도시건설의 새로운 역사로 기록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