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멀어지는 내집마련"...서울 집값, 연소득의 9배로 역대 최고

    입력 : 2017.01.06 10:16


    지난해 서울에서 소득 대비 아파트값이 역대 최고치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낮고 집값은 비싸 내 집 마련이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에서 가구 소득 대비 아파트가격을 나타내는 PIR(Price to income ratio) 지수가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KB국민은행의 PIR 조사는 KB국민은행 아파트 담보대출 대출자의 연소득과 담보 주택의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해당 기간 실제 아파트를 구매한 가구의 소득 대비 집값 부담을 나타낸다.

    지난해 서울 PIR은 1분기(1~3월)와 3분기(7~9월)에 9.0으로 조사됐다. 이는 KB국민은행이 PIR집계를 시작한 2008년 이래 분기별 PIR 중 최고치다. 2분기(4~6월)에도 8.7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서울 가구소득은 5173만원이다. 2008년 1분기(4007만원)보다 1166만원 올랐다. 같은기간 아파트값은 2억9500만원에서 4억6450만원으로 1억6950만원 상승했다.

    경기도 역시 지난해 1분기 PIR지수가 역대 최고인 7.1로 기록됐다. 2분기는 6.7, 3분기는 7.0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경기도의 가구소득은 2008년 1분기(3246만원)대비 805만원 오른 4051만원이다. 같은 기간 아파트 가격은 8875만원(1억9825만→2억8700만원) 상승했다.

    인천의 지난해 1분기 가구소득은 3663만원, 아파트값은 2억4750만원으로, PIR은 6.8로 조사됐다.

    반면 주택구매력지수(HAI)는 201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택구매력지수란 소득이 중간정도인 가구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정도의 주택을 구입한다고 가정할 때, 현재 소득으로 대출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수다.

    HAI가 100보다 크면 중간정도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간가격 정도 주택을 무리없이 구입할 수 있다는 뜻이다. HAI가 상승하면 주택구매력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HAI는 지난해 9월 60.2로 조사됐다. 2013년1월 61.0에서 상승세를 보이다가 2015년 초부터 꺾이기 시작해 지난해 9월에는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을 중심으로 소득 대비 집값이 크게 올라 서민들의 내집마련이 더 어려워진 셈”이라고 말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